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7155(Print)
ISSN : 2287-6618(On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40 No.4 pp.205-210
DOI : https://doi.org/10.11620/IJOB.2015.40.4.205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eal-Time PCR Primers for Detec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Soon-Nang Park1,2,3, Joong-Ki Kook1,2,3*
1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2Department of Oral Biochemistry
3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375 Seosuk-Dong, Dong-Gu, Gwangju 501-759,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Joong-Ki Kook, 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Department of Oral biochemistry, and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375 Seosuk-dong, Dong-gu, Gwangju 501-759, Korea. Tel.: +82-62-230-6877, Fax: +82-62-224-3706 jkkook@chosun.ac.kr
November 17, 2015 December 9, 2015 December 11, 2015

Abstract

Prevotella intermedia-specific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primers were previously designed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RNA polymerase β-subunit gene (rpoB). However, the several clinical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populations are not detectable by the qPCR pri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P. intermedia-specific qPCR primers based on the rpoB. The specificity of the primers w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PCR with 12 strains of P. intermedia and 52 strains (52 species) of non-P. intermedia bacteria. The sensitivity of primers was determined by qPCR with serial dilutions of the purified genomic DNAs (40 ng to 4 fg) of P. intermedia ATCC 25611T. The data indicated that only P. intermedia strains were detected by the P intermedia-specific qPCR primers (RTPiF2/RTPiR2); in addition, as little as 40 fg of P. intermedia genomic DNA could be detec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qPCR primers are useful in detecting P. intermedia from the bacterial infectious lesions including dental plaque and oral tissue lesions.


초록


    Chosun University

    서 론

    Prevotella intermedia는 그람 음성 혐기성 간균으로 치 주질환의 원인균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P. intermedia는 성인성 치주염, 임신성 치은염, 급성괴사성 궤양성치은염(acute necrotizing ulcerative gingivitis) 및 HIV 연관성 치은염 등에 이환된 환자의 치은연하부위에서 빈 번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구강 농양 병소에서도 검출됨이 보고되었다[1-3]. 최근 한국인의 치은염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결과에 의하면, P. intermedia가 치은연하 치면세균 막에 존재할 경우 비외과적 치료 후 예후가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다[4]. P. intermedia가 치주질환을 유발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독성인자로는 구강 상피세포에 침입[5], 내독소[6], succinate, isobutyrate, isovlerate 및 ammonia 등 과 같은 독성 대사산물[7], 용혈소 및 적혈구 응집소[1] 등 이 있다.

    치주질환의 병인론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치주질환 과 밀접한 원인균종을 찾는 역학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치주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균 종을 찾는 분자역학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샘플에서 세균 종을 신속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현재까 지 개발된 여러 세균 검출법들 중에서 가장 신속 정확하고, 민감도가 높으며 정성 및 정량적 방법이 가능한 방법은 실 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본 연구자 팀은 DNA-dependent RNA polymerase beta-subunit 유전자 (rpoB) 핵산염기서열을 바탕으로 42종 구강 세균 종에 대한 종-특 이 qPCR 프라이머 쌍들을 개발하여 소개하였다[8]. 그 논문 에서 소개된 P. intermedia 종-특이 qPCR 프라이머 쌍인 Pi-F4와 Pi-R4는 75종(P. intermedia 포함) 구강 세균 표준균 주와 P. intermedia를 포함하여 종-특이성 검사를 시행하여 P. intermedia 균주들(ATCC 25611T와 ATCC 49046)의 지놈 DNA에서 PCR 산물이 증폭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자팀의 후속 연구 과정 중 Pi-F4와 Pi-R4 프라이머 쌍은 한국인에서 분리동정된 P. intermedia 임상균주의 일부를 검출하지 못함 을 알게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rpoB 핵산염기서열을 바탕으로 P. intermedia 임상균주들까지 검출이 가능한 개선 된 P. intermedia 특이적 qPCR 프라이머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세균 및 세균 배양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준 균주들은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Biological Resource Center, Korea), CCUG (Culture Collection, University of Göteborg, Sweden) 및 ATCC (Type Culture Collection, USA)에서 구입 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또한 한국인유래 P. intermedia 임상균주들은 한국구강미생물자원은행(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Gwangju,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 하였다.

    Enterococcus spp., Streptococcus spp. 및 Neisseria spp. 균주 들은 brain heart infusion (BHI, Difco Laboratories, Spark, MD, USA) 배지를 이용하여 37°C 호기성 세균배양기(Thermo Forma, Waltham, MA,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A. actinomycetemcomitans 균주들은 tryptic soy broth (TSB, Difco Laboratories)에 0.6% yeast extract, 5% horse serum, 75 μg/ml bacitracin 및 5 μg/ml vancomycin (Sigma, St. Louis, MO, USA)이 첨가된 배지에, 그외 균주들은 TSB에 0.5% yeast extract, 0.05% cysteine HCl-H2O, 0.5 mg/ml hemin 및 2 μg/ml vitamin K1가 첨가된 배지에 85% N2, 10% CO2, 5% H2가 공급되는 37°C 혐기성 세균배양기(Bactron I, Sheldon Manufacturing Inc., Cornelius, OR, USA)에서 배양하였다.

    qPCR 프라이머 설계 및 종-특이성 검증

    P. intermediarpoB 핵산염기서열(GenBank accession no. JX480867)을 바탕으로 PrimerSelect 프로그램 (DNASTAR Inc., USA)을 이용하여 qPCR 프라이머를 설 계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RTPi-F2, 5′-ACC CAT TGG CAG AAG TTA CG-3′; RTPi-R2, 5′-TCA ATA GGA CAC AAG CGA CCA TAG-3′. 예상되는 PCR 증폭물의 크기는 130 bp이다. 이때 설계된 primer 쌍은 Bioneer 사 (Daejeon, Korea)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다.

    세균의 지놈 DNA들은 CTAB 방법에 따라 추출하였다[9]. qPCR 프라이머(RTPi-F2/RTPi-R2)의 P. intermedia에 대 한 종-특이성 검증은 일반적인 PCR법을 이용하였으며, Bioneer 사(Korea)의 AccuPower® PCR PreMix (Bioneer) 및 MyGenieTM 96 Gradient Thermal Block을 사용하여 제 조회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PCR 반 응 용액의 RTPi-F2와 RTPi-R2 프라이머들은 각각 최종 1 pmole/μl 씩 넣었으며, 세균 지놈 DNA들은 각각 2ng 을 넣어서 반응을 시켰다. PCR 반응 조건은 95°C에서 10분간 전변성 처리하였고, 95°C에서 10초간 변성, 60°C 에서 20초간 결합, 72°C에서 20초간 중합 과정을 30회 시행하고, 72°C에서 5분간 최종 중합과정을 시행하였다. PCR이 끝난 후 PCR 반응물 중 5 μl를 1.5% 아가로스 젤을 매질로, Tris-acetate buffer (0.04 M Tris-acetate, 0.001 M EDTA, [pH8.0])를 전해질로 사용하여 100V에서 15분간 전기영동하였다. 증폭물을 GoodViewTM Nucleic Acid Stain (SBS Greetech, Beijing, China)으로 염색하여 UV transilluminator로 PCR 증폭 여부를 확인하였다.

    qPCR

    qPCR은 AccuPower®GreenStarTM qPCR PreMix (Bionner, Korea) 및 ExicyclerTM 96 Real-Time Quantitative Thermal Block(Bionner)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PCR PreMix에 RTPi-F2와 RTPi-R2 프라이머 각각 60 pmoles와 세균 유전체 40 ng에서 4 fg까지 10배씩 희석된 양을 각각 PCR tube에 넣고, DEPC water를 첨가하여 최종 반응물이 50 μl가 되도록 한 후 voltexing하고, 2,500 rpm에서 10초간 원심분리 하였다. qPCR 조건은 95°C에서 10분간 전변성 과정을 거친 후 95°C 에서 10초간 변성, 60°C에서 20초간 결합, 72°C에서 20초간 중합 과정을 40회 반복하였으며, 60~94°C에서 1°C씩 1초간 스캔하여 melting curve를 분석하였다.

    결 과

    일반적인 PCR법으로 P. intermedia의 검출을 위해 설계 된 qPCR 프라이머(RTPi-F2/RTPi-R2)의 종-특이성을 조사 한 결과, P. intermedia 균주(표준균주를 포함한 서양인 유 래 2주 및 임상균주 10주)에서만 130 bp의 PCR 증폭물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P. intermedia 종이외 의 구강에 존재하는 52종(52 균주) 지놈 DNA에서는 PCR 증폭물이 확인되지 않았다 (Fig. 1).

    본 연구에서 설계된 qPCR 프라이머 쌍(RTPi-F2/ RTPi-R2) 의 최소검출한도를 측정하기 위해 P. intermedia ATCC 25611T의 유전체 DNA를 40 ng부터 4 fg까지 10배씩 희석하 여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TPi-F2/ RTPi-R2 프라이머 쌍은 P. intermedia ATCC 25611T 지놈 DNA 40 fg까지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2 및 Fig. 2A).

    qPCR 프라이머(RTPi-F2/RTPi-R2)에 의한 비특이적 PCR 산물 유무를 검증하기 위해 melting curve 분석을 실 시한 결과, melting curve가 단일한 패턴을 보여 비특이적 PCR 산물이 증폭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B).

    고 찰

    본 연구 결과 P. intermedia를 종-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설계된 RTPi-F2/RTPi-R2 프라이머는 qPCR에 의해 P. intermedia 지놈 DNA를 40 fg까지 종-특이적으로 검 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2 & Fig. 2). P. intermedia ATCC 25611의 세균 지놈 크기가 약 2.57 Mb (http://www.ncbi.nlm.nih.gov/nuccore/NZ_JAEZ00000000.1) 인 점을 감안하면, RTPi-F2/RTPi-R2 프라이머 쌍은 P. intermedia를 qPCR법에 의해 15 균주에 해당하는 세균 지놈 DNA까지도 검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qPCR 프라이머 설계 시 여러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 용하는 데,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최적결합온도(optimal annealing temperature)는 실제와는 다른 경우가 많다 [10,11]. 본 연구에서도 PrimerSeclect (DNASTAR Inc.)를 사용하여 얻은 RTPi-F2/RTPi-R2의 최적결합온도는 53. 5°C였지만, 실제 최적결합온도는 60°C였다(data not shown). 즉, P. intermedia와 유전자 수준에서 가장 가까 운 P. nigrescens ATCC 33563T 균주와 P. intermedia ATCC 25611T의 지놈 DNA를 이용하여 gradient PCR (결 합온도를 51-62°C 사이에서 1°C 간격으로)을 실시하여, P. intermedia ATCC 25611T의 지놈 DNA만 검출되는 온 도 중 PCR 증폭물 밴드 진하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온도를 최종 결합온도로 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 려하면, 세균 종-특이 PCR (qPCR 포함) 최적결합온도를 정할 때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제시해주는 온도보다 는 표적 세균 종 및 그와 가장 유전자 수준에서 가까운 종의 지놈 DNA를 이용한 gradient PCR을 수행하여 얻 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16S ribosomal DNA gene (16S rD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P. intermedia를 종-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qPCR 프라이머 쌍이 소개되었다[12]. 그 연구에서 소개된 qPCR 프라이머는 TaqMan 프로브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 이었으며, P. intermedia를 102-107 마리에 해당하는 지놈 DNA를 10배씩 연속 희석하여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일 반적으로 TaqMan 프로브 법은 qPCR 프라이머와 더불어 종-특이적 프로브를 더 이용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이 용한 SYBR Green 법에 비해 특이성이 더 좋은 것으로 알 려져 있다. 하지만, P. intermedia, Porphyromonas gingivalis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검출을 위한 두 방 법을 비교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두 방법의 특이성, 정확 성 및 민감도의 차이가 유의성이 없었다[13]. TaqMan 프 로브 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특이적 프로브가 필요하 고, 프로브에 6-carboxylfluorescein와 6-carboxytetramethylrhodamine 같은 reporter 및 quencher 염 색물질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SYBR Green 법에 비해 번 거롭고 비경제적이다. 그러므로 많은 수의 구강 내 세균 감염성질환 병소 샘플에서 구강 세균 종을 정성 및 정량 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SYBR Green 법을 이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라 생각된다.

    qPCR 프라이머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표적 유전자가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선호되는 표적 유전자 는 16S rDNA이다. 왜냐하면, 16S rDNA는 세균분류학적 측면에서 기준이 되고, 같은 종에 속하는 균주들간에 상 동성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최소한 모 든 세균 종 표준균들의 핵산염기서열이 알려져 있어 프 라이머 제작이 용이 하기 때문이다[14,15]. 하지만 16S rDNA는 세균 종간에 copy 수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임 상 샘플에서 세균 종들의 정량적 비교에는 한계가 존재 한다. 또한, 특정 세균 종들간의 16S rDNA 핵산염기서 열 상동성이 99.9% 이상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종-특이 qPCR 프라이머 설계가 불가능할 경우가 있다[16]. 16S rDNA의 qPCR 프라이머 설계 시 표적유전자로써의 단 점을 보완할 수 있는 표적유전자가 rpoB이다. 즉, rpoB 는 16S rDNA와 같이 세균분류학적 측면에서 세균 종 내 핵산염기서열 상동성이 잘 보존되어 있고, 대부분의 세균들에서 copy 수가 하나이기 때문에 임상 샘플에서 세균 종의 존재 비율을 정량적으로 정확히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7]. 하지만, 모든 세균 종 표준균주 들에 대한 rpoB 핵산염기서열이 결정되지 않은 단점은 있다. 그러므로 향 후 모든 세균 종 표준균주들에 대한 rpoB 핵산염기서열이 결정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면 16S rDNA를 대신해서 rpoB가 세균 종-특이 qPCR 설계 를 위한 표적 유전자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P. intermedia 종-특이 qPCR 프라이머(RTPi-F2/RTPi-R2)는 종 특이성 및 균주 15 마리까지 검출할 수 있는 높은 민감도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향 후 치주질환을 포 함한 구강 내 세균감염정질환의 분자역학 연구에 있어 서 P. intermedia을 종-특이적으로 검출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mpeting interest.

    Figure

    IJOB-40-205_F1.gif

    Specificity tests of the P. intermedia-specific qPCR primers with 40 ng of each bacterial genomic DNA. The PCR reaction products were electrophoresed on 1.5% agarose gels. Lanes: S, size marker (100 bp ladder); 1, P. intermedia ATCC 25611T; 2, (-) control DDW; 3, P. baroniae CCUG 50418T; 4, P. bivia ATCC 29303T; 5, P. brevis KCTC 5503T; 6, P. buccae ATCC 33574T; 7, P. buccalis CCUG 15557T; 8, P. corporis ATCC 33547T; 9, P. dentalis ATCC 49559T; 10, P. denticola CCUG 29542T; 11, P. disiens CCUG 9558T; 12, P. enoeca ATCC 51261T; 13, P. heparinolytica ATCC 35895T; 14, P. loescheii ATCC 15930T; 15, P. melaninogenica ATCC 25845T; 16, P. marshii CCUG E9.34T; 17, P. nigrescens NCTC 9336T; 18, P. oralis ATCC 33269T; 19, P. oris CCUG 15405T; 20, P. oulorum ATCC 43324T; 21, P. pallens ATCC 700821T; 22, P. ruminicola ATCC 19189T; 23, A. actinomycetemcomitans ATCC 33384T; 24, H. aphrophilus ATCC 33389T; 25, A. odontolyticus CCUG 20536T; 26, A. naeslundii CCUG 35333T; 27, T. forsythia ATCC 43037T; 28, P. gingivalis ATCC 33277T; 29, F. nucleatum ATCC 25586T; 30, F. necrophorum ATCC 25286T; 31, F. periodonticum ATCC 33693T; 32, E. faecalis KCTC 3206T; 33, T. denticola ATCC 35405T; 34, N. subflava ATCC 49275T; 35, N. meningitidis ATCC 13077T; 36, N. mucosa ATCC 19696T; 37, C. rectus ATCC 33238T; 38, C. gingivalis ATCC 33624T; 39, C. ochracea KCTC 5787T; 40, S. anginosus ATCC 700231T; 41, S. intermidius KCTC 3268T; 42, S. constellatus ATCC 27823T; 43, S. gordonii CCUG 33482T; 44, S. mitis KCTC 3556T; 45, S. mutans ATCC 25175T; 46, S. oralris CCUG 13229T; 47, S. parasanguinis CCUG 30417T; 48, S. pneumoniae CCUG 28588T; 49, S. sanguinis CCUG 17826T; 50, S. sobrinus ATCC 33478T; 51, V. parvula KCTC 5019T; 52, V. dispar KCOM 1301; 53, E. corrodens KCOM 1378; 54, G. haemolysans KCOM 1381; 55, P. intermedia ATCC 49046; 56, P. intermedia KCOM 1101; 57, P. intermedia KCOM 1106; 58, P. intermedia KCOM 1107; 59, P. intermedia KCOM 1109; 60, P. intermedia KCOM 1933; 61, P. intermedia KCOM 1944, 62, P. intermedia KCOM 1945, 63, P. intermedia KCOM 1949, 64, P. intermedia KCOM 2033, 65, P. intermedia KCOM 2069.

    IJOB-40-205_F2.gif

    Standard curve (A), amplification plot (B), and melting curve (C) were obtained by qPCR using the RTPi-F2/RTPi-R2 primers from 10-fold serial dilutions of genomic DNA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T range from 40 ng to 4 fg. In the standard curv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standard curve was: Y = -0.2897X + 10.7116. The R2value was 0.9969.

    Table

    The bacterial strains used in this study

    Determination of CT value for a dilution series of 40 ng of genomic DNA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T

    †ND, not detected

    Reference

    1. Okamoto M , Maeda N , Kondo K , Leung KP (1999) Hemolytic and hemagglutinating activities of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 FEMS Microbiol Lett, Vol.178 ; pp.299-304
    2. Papapanou PN , Neiderud AM , Papadimitriou A , Sandros J , Dahlén G (2000) “Checkerboard” assessments of periodontal microbiota and serum antibody responses: a case control study , J Periodontol, Vol.71 ; pp.885-897
    3. Milsom SE , Sprague SV , Dymock D , Weightman AJ , Wade WG (1996) Rapid differentia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and P. nigrescens by 16S rDNA PCR-RFLP , J Med Microbiol, Vol.44 ; pp.41-43
    4. Kook JK , Sakamoto T , Nishi N , Kim MK , Seong JH , Son YN , Kim DK (2005) Detection of Tannerella forsythia and/or Prevotella intermedia might be useful for microbial predictive markers for the outcome of initial periodontal treatment in Koreans , Microbiol Immunol, Vol.49 ; pp.9-16
    5. Dorn BR , Leung KL , Progulske-Fox A (1998) Invasion of human oral epithelial cells by Prevotella intermedia , Infect Immun, Vol.66 ; pp.6054-6057
    6. Kim SJ , Ha MS , Choi EY , Choi JI , Choi IS (2004) Prevotella intermedia lipopolysaccharide stimulates release of nitric oxide by inducing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 J Periodontal Res, Vol.39 ; pp.424-431
    7. Saito K , Takahashi N , Horiuchi H , Yamada T (2001) Effects of glucose on formation of cytotoxic end-products and proteolytic activity of Prevotella intermedia, Prevotella nigresce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 J Periodontal Res, Vol.36 ; pp.355-360
    8. Park SN , Lim YK , Kook JK (2013)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eal-time PCR primers for detecting 42 oral bacterial species , Arch Microbiol, Vol.195 ; pp.473-482
    9. Wilson K Ausubel FM , Brent R (1990) Preparation of genomic DNA from bacteria ,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Greene Publ. Assoc. and Wiley Interscience, ; pp.241-245
    10. Kim SG , Kim SH , Kim MK , Kim HS , Kook JK (2005) Identification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using speciesspecific 16S rDNA primers , J Microbiol, Vol.43 ; pp.209-212
    11. Shin HS , Kim MJ , Kim HS , Park SN , Kim DK , Baek DH , Kim C , Kook JK (2010)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PCR prim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fusiforme ATCC 51190T and subsp. vincentii ATCC 49256T , Anaerobe, Vol.16 ; pp.43-46
    12. Kuboniwa M , Amano A , Kimura KR , Sekine S , Kato S , Yamamoto Y , Okahashi N , Iida T , Shizukuishi S (2004) Quantitative detection of periodontal pathogens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TaqMan probes , Oral Microbiol Immunol, Vol.19 ; pp.168-176
    13. Maeda H , Fujimoto C , Haruki Y , Maeda T , Kokeguchi S , Petelin M , Arai H , Tanimoto I , Nishimura F , Takashiba S (2003) Quantitative real-time PCR using TaqMan and SYBR Green for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tetQ gene and total bacteria , FEMS Immunol Med Microbiol, Vol.39 ; pp.81-86http://dx.doi.org/10.1016/S0928-8244(03)00224-4
    14. Woese CR (1987) Bacterial evolution , Microbiol Rev, Vol.51 ; pp.221-271
    15. Krieg NR Boone DR , Castenholz RW , Garrity GM (2001) Identification of Procaryotes ,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pringer, Vol.11 ; pp.33-38
    16. Park SN , Park JY , Kook JK (2011) Development of Porphyromonas gingivalis-specific quantitative real-time PCR primers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rpoB , J Microbiol, Vol.49 ; pp.315-319
    17. Severinov K , Mustaev A , Kukarin A , Muzzin O , Bass I , Darst SA , Goldfarb A (1996) Structural modules of the large subunits of RNA polymerase. Introducing archaebacterial and chloroplast split sites in the beta and beta' subunits of Escherichia coli RNA polymerase , J Biol Chem, Vol.271 ; pp.27969-7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