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뼈 기질(bone matrix)을 분해 흡수하는 파골세포(osteoclasts)는 뼈 기질의 단백질 성분을 생산하는 조골세포(osteoblasts)와 함께 뼈 재 형성(remodeling)과 뼈 항상성(bone homeostasis)을 담당하고 있 다[1]. 파골세포는 단핵세포/대식세포(monocyte/macrophage) 계 통에서 유래하며 파골세포 분화 사이토카인(differentiation cytokine) 인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NF)-κB ligand (RANKL) 의 자극에 의해 분화된다[1,2]. RANKL과 그 수용체인 receptor activator of NF-κB (RANK)의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복잡하고 정교한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가 보고되었다[1,3]. RANKL과 RANK의 결합 은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 6를 경유하는 신호전달을 통해 NF-κB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c-Jun N-terminal kinases (JNKs), p38 등의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를 활성화 시키고 이러한 신호전달을 통해 c-Fos 의 발현을 증가시킨다[4-6]. 공동 자극 신호전달 경로(co-stimulatory signaling pathway)로 알려진 또 다른 경로에서, RANKL/RANK 결합 은 Fc receptor common γ subunit 또는 DNAX-activating protein 12 같은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harboring adaptor의 활성화를 유발하고, 후속적으로 Bruton’s tyrosine kinase 및 phospholipase C gamma (PLCγ)를 차례대로 활성화 시 킨다[7-10]. PLCγ 활성화는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로부터 inositol triphosphate receptors에 결합하는 inositol triphosphate를 생성하고, 이어서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로부터 Ca2+ 이온 방출을 유도하여 파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 는 Ca2+-oscillation을 생성한다[11-13]. 결과적으로, RANKL/RANK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세포 내 두 신호 전달 경로는 in vitro 및 in vivo 에서 파골세포 분화(differentiation), 생성(formation) 및 활성화(activation) 에 가장 중요한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NFATc1의 발현 및 활성화를 유도한다[14].
한국에서 모과(Chaenomelis Fructus)라고 하는 것은 장미과에 속 하고 한국, 중국 및 일본에 널리 퍼져있는 낙엽교목인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 Koehne)의 성숙과실을 건조한 것을 일컬으며 중 국에서는 이것을 광피목과(光皮木果)라 지칭하고 있다[15]. 모과는 전 통적인 한의학 및 중의학에서 인후염을 비롯한 염증, 류마티스 관절염, 기침, 감기 및 설사 등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16,17]. 최근의 연구에서 triterpenes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flavonoids (quercetin, luteolin, catechin) 및 phenolics (chlorogenic acid) 등의 많은 물질이 모과의 활성성분으로 분리되었 고, 항산화(antioxidant), 항종양(antitumor), 항고지혈증(antihyperlipidemic), 항균활성(antimicrobial activity), 항독감바이러스(antiinfluenza virus) 및 항파킨슨(anti-Parkinson) 등의 효과가 보고되 었다[16-22]. 모과 에탄올 추출물(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CF-E)의 활성성분들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제거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발생을 감소시키고, RAW264.7 macrophage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인 interleukin-6의 생성을 억제시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보 이고[23], 또한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RNA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산화질소의 생성 을 억제하고, LPS에 의해 유도되는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feron- γ,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의 발현을 억제시 킴으로써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24]. 그러나 이와 같은 모과의 많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파골세포를 비롯한 뼈관련 세포(bone-related cells), 뼈대사(bone metabolism) 및 뼈질환(bone diseases) 등에서 모과의 효과가 보고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모과 에탄올 추출물(CF-E)을 이용하여 파골세포 분화, 생성 및 활성에서의 효과를 측정하고 그 효과 기전을 규명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1. 실험 배지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한 배지(α-minimal essential medium, α-MEM), 소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비롯한 세포 배양관련 시약 은 Hyclone (Rockford, IL, USA)에서 구입하였다. Recombinant RANKL와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는 한 국한의학연구원에 근무하는 김태수 박사로부터 얻었다. Anti-NFATc1, anti-c-Fos 항체(antibody)는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로부터 구입하였고, anti-actin 항체는 Sigma-Aldrich (Seoul,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또 다른 항체들 (p-ERK (Thr202/Tyr204), ERK, p-JNK (Thr183/Tyr185), JNK, p-p38 (Thr180/Tyr182), p-38, p-IκBα (Ser32), IκBα, PLCγ1, and PLCγ2)은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로 부터 구입, 사용하였다.
2. 모과 에탄올 추출물 준비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과(Chaenomelis Fructus)는 2012년 5월 대한민국 익산시에 소재한 대학한약국에서 구입하였고 형태학적 특 징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모과 50 g을 70% 에탄올 수용액 50 mL 로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 여 모과 추출물 13.41 g (NNMBS-013)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물 에 녹이고 하루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에 2,500 rpm에서 30분간 원 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생긴 침전물을 70% 에탄올에 용 해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최종적으로 모과 에탄올 추출 물 1.19 g (표준화 시료 1, NNMBS-014)을 얻었다. 모과 에탄올 추 출물(NNMBS-013, 014)은 원광대학교 천연물신약 표준화연구 소재 은행에 보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과 에탄올 추출물 표준화 시료 1 (NNMBS-014, CF-E)을 각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세포독성 평가
모과 에탄올 추출물(CF-E)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Itsbio (Seoul, Korea)에서 제조한 EZ-Cytox Enhanced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사용하였다[25]. (주)오리엔트 바이오(Seongnam, Korea) 로부터 구입한 6–8주령의 C57BL/6N 수컷 생쥐의 대퇴골(femur)과 경골(tibiae)로부터 골수세포(bone marrow cells)를 분리하여 10% FBS, 1% Penicillin (100 U/mL)/Streptomycin (100 μg/mL) 및 30 ng/mL M-CSF가 첨가된 α-MEM으로 3일 동안,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접시에 부착된 세포를 trypsin으로 분리하 고 원심분리하여 모은 세포를 파골세포 전구세포(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로 사용하였다. M-CSF (30 ng/mL)가 들어있는 α-MEM에 현탁한 BMMs을 96 well culture plate (Greiner Bio-One, Frickenhausen, Germany)에 분주(1 × 104 cells/well) 한 후, 다양한 농도(0, 2, 5, 10, 20 and 40 μg/mL)의 CF-E를 처리하 여 37℃, 5% CO2 조건하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또는, M-CSF가 든 배지에 현탁한 BMMs을 20 μg/mL의 CF-E를 처리한 조건에서 4 일 동안 배양하였다. 10 μL의 EZ-Cytox reagent를 각 well에 첨가해 준 후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unriseTM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 (Tecan, Männedorf, Switzerland) 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값은 CF-E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0 μg/mL)에 대한 상대적인 % 값으로 표시하였다.
4. 파골세포 분화, actin ring 및 absorption pit 형성 측정
파골세포 분화에서 CF-E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BMMs (1 × 104 cells/well)을 M-CSF (30 ng/mL)와 RANKL (100 ng/mL) 이 첨가된 α-MEM 배지(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에 희석하여 96 well culture plate에 분주한 후, 다양한 농도(0, 1, 2, 5, 10 and 20 μg/mL)의 CF-E를 처리하였다. 37℃, 5% CO2 조건 하에서 4일 동안 배양하면서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10% formalin 용액으로 배양 세포를 고정시킨 후 메탄올/아세톤(1:1) 용액 을 1분 동안 첨가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F-actin ring 형성을 측 정하기 위하여 고정시킨 세포를 rhodamine-phalloidin (Molecular Probes, Eugene, OR, USA)으로 염색하여 형광 도립현미경(Leica Microsystems GmbH, Wetzlar, Germany)으로 관찰한 후, 순차적 으로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olution assay 와 TRAP 염색(staining)을 시행하였다[25]. p -nitrophenyl phosphate (Sigma-Aldrich, Seoul, Korea)를 기질로 사용하여 40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plate well 내 전체 TRAP 활성을 측정하 는 TRAP solution assay를 시행하였다. 또한 TRAP 염색 후 현미경 으로 관찰하여 3개 이상 핵을 가지고 직경이 100 μm 이상인 TRAP(+) multinuclear cells (MNCs)을 성체 파골세포로 간주하였다. 뼈흡수 (bone resorption)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CSF와 RANKL이 함 유된 α-MEM 배지(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에 현탁 된 BMMs (3 × 104 cells/well)을 CF-E (20 μg/mL) 처리한 그룹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그룹으로 분류하여 Cosmo Bio 48-well bone resorption assay plate (Cosmo Bio, Tokyo, Japan)에서 7일 동안 배양(3일마다 새 배지로 교환)한 후 bleach를 사용하여 well을 세척하 였다. 각 resorption assay plate의 well을 촬영한 후 ImageJ software (NIH 1.62)를 사용하여 resorption pit area를 분석하였다[25].
5. RNA 분리 및 실시간 정량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분석
파골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MMs를 M-CSF (30 ng/ mL)와 RNAKL (100 ng/mL)를 함유한 α-MEM 배지에 현탁 시킨 후 CF-E (20 μg/mL)를 첨가하여 4일 동안 배양시켰다. 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처리하여 매일 배양된 세포로부 터 total RNA을 추출하였다. Maxima reverse transcriptase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와 random primer를 이용하여 1 μg의 total RNA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역전사 반응시 켜 cDNA를 얻었다. 합성한 cDNA와 10 pmole의 primers (forward, reverse)를 veriQuest SYBR Green qPCR Master mix (Affymetrix, Santa Clara, CA, USA)에 첨가하고 StepOnePlusTM Real- Time PCR Systems (Applied Biosystems, Carlsbad, CA, USA) 을 이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로 정량화시킨 파골세포 분 화 인자들(Acp5, Atp6v0d2, Oscar, CtsK, Tm7sf4 and Nfatc1)의 발현 수준을 대조군(0 μg/mL CF-E)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primers는 Table 1에 표시하였다.
6. Western blot analysis
BMMs (3 × 105 cells/well)을 M-CSF (30 ng/mL)가 첨가된 α-MEM 배지에 희석하고 6 well culture plate에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CF-E (20 μg/mL)를 2 시간 동안 전 처리한 후 RANKL (100 ng/mL)을 처리하여 분화 신호를 유도하였다. 또는 M-CSF (30 ng/mL)와 RANKL (100 ng/mL)이 첨 가된 α-MEM 배지에 BMMs을 희석하고 CF-E (20 μg/mL)을 처리 한 그룹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그룹으로 나눠 일정 시간(6시간–4일)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시킨 세포를 phosphate-buffed saline로 세척 한 후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rotease-inhibitor cocktail (Roche, Mannheim, Germany)와 phosphatase inhibitor tablets (Thermo Scientific, Seoul, Korea)이 첨가된 lysis buffer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 (25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1% NP-40, 1% sodium deoxycholate, and 0.1% sodium dodecyl sulfate [SDS])를 이용하여 세포를 lysis 시키 고 10분 동안 14,000 × g, 4℃에서 원심 분리하여 모은 상층액을 전 체 세포 단백질(total cell lysate)로 사용하였다. 30 μg의 전체 세포 단 백질을 10%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로 전기영동 시행하였고, SDS-PAGE 상 의 단백질을 HybondTM-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s (GEHealthcare Life Science, Marlborough, MA, USA)으로 이동시켰 다. 각각의 membrane은 한 시간 동안 5% skin milk를 사용하여 블로 킹 한 후, 0.1% Tween-20이 첨가된 Tris-buffered saline (50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and 0.1% Tween-20)에 희석 (1:1,000 dilution)한 일차항체와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차항체는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immunoglobulin G (1:5,000 dilution)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발현량은 image analyzer (FluorChem E, ProteinSimple,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확 인하였다. 단백질 밴드의 농도는 ImageJ software (NIH 1.52)를 사 용하여 정량하였다.
7. 통계분석
본 연구의 결과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mean ± standard deviation으로 표시되었다. p < 0.05의 경우만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최소한 두 번 이상 수행하였 고, 대표적인 결과를 표시하였다.
Results
1. 파골세포 전구세포(BMMs)에 대한 모과 에탄올 추출물 (CF-E)의 세포독성(cytotoxicity)
본 연구에서 사용된 CF-E의 효과를 검증하기에 앞서 파골세포 전구 세포(BMMs)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M-CSF 존재 하에 배양 한 BMMs 세포에 다양한 농도(2, 5, 10, 20, 40 μg/mL)의 CF-E를 처리하고 3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CF-E를 처리하 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2–20 μg/mL CF-E 농도를 처리한 실험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40 μg/mL의 CF-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약 24% 정도의 세포독성 을 보였다(Fig. 1A). M-CSF가 포함된 배지에 현탁한 BMMs 세포에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은 가장 높은 측정 농도인 20 μg/mL의 CF-E를 4일 동안 처리한 후 매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Fig. 1B). 전 배양 기 간 동안 CF-E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처리한 실험군 사이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실험에 20 μg/mL CF-E 농도를 선별 사용하였다.
2. 모과 에탄올 추출물(CF-E)의 파골세포 분화 (differentiation), 생성(formation) 및 뼈흡수 활성 (bone resorption activity)에서의 효과
파골세포의 분화와 생성에서 CF-E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M-CSF와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시킨 BMMs 세포에 다양한 농도(1, 2, 5, 10, 20 μg/mL)의 CF-E를 처리하였다. TRAP 염색 및 TRAP solution assay를 이용하여 파골세포의 분화와 생성을 측정하였다. 처리한 CF-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3개 이상의 핵 을 가지고 직경이 100 μm 이상인 성체 파골세포인 TRAP(+) MNCs 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Fig. 2A and 2B). 1–2 μg/mL의 CF-E 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CF-E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생성된 성 체 파골세포의 수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5 μg/mL의 CF-E를 처리한 실험군부터 성체 파골세 포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20 μg/mL CF-E를 처리한 실험 군에서는 성체 파골세포가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또한, TRAP을 발현 하는 mono-, di- 그리고 MNC의 total TRAP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TRAP solution assay 결과, TRAP 염색 결과와 마찬가지로 5 μg/mL 이상의 CF-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TRAP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Fig. 2C). 파골세포의 뼈흡수(bone resorption) 활 성에서의 CF-E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CF-E 처리 하에서 RANKL 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한 후 F-actin ring과 pit 형성을 측정하 였다. CF-E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20 μg/mL CF-E를 처리 한 실험군에서 골 기질(bone matrix) 흡수에 필수적인 구조인 F-actin ring을 가지는 성체 파골세포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Fig. 2D). 실제적으로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가 coating된 plate에 배양한 파골세포 중 CF-E를 처리한 실험군의 pit formation rate이 대 조군에 비해 약 75% 정도 현저하게 감소되었다(Fig. 2E). CF-E 처리 에 의한 F-actin ring과 pit formation의 억제는 CF-E 처리한 실험군 에서 보여준 TRAP(+) MNCs 분화 및 생성 감소에 기인한다. 이상의 결과들은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전구 파골세포(BMMs)로부터 성체 파골세포로의 분화 및 생성뿐 아니라 뼈흡수 활성에서도 CF-E가 억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3. 모과 에탄올 추출물(CF-E)의 파골세포 분화인자 (differentiation factors) 발현에서의 효과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에서의 CF-E 억제효과를 분자 수준(molecular level)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과정에서 발현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진 파골세포 분화인자 유전자(osteoc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Acp5 (Trap ), Atp6v0d2 , Oscar , CtsK, Tm7sf4 (Dc-stamp) 및 파골세포 분화와 생성의 모든 단계에 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Nfatc1 의 발현을 real-time PCR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RANKL에 의한 파골 세포 분화과정에서(day 0–4) 선별한 파골세포 분화인자들 및 Nfatc1 의 발현이 배양기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CF-E (20 μg/mL)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측정한 모든 파골세포 분화인자들 및 Nfatc1의 발현량이 전 배양기간에 걸쳐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 되었다(Fig. 3). 이러한 결과들은 CF-E가 파골세포의 분화인자 및 전사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Fig. 2에서 보여준 RANKL에 의한 파골 세포의 분화,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4. 모과 에탄올 추출물(CF-E)의 RANKL-유도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 억제 신호전달 기전
CF-E에 의한 파골세포의 분화 및 생성 억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내 신호전달(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을 측정하였다. BMMs을 M-CSF 처리하여 24시간 동 안 배양한 후, CF-E를 2시간 동안 전처리(pre-treatment)한 실험군 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 RANKL을 5, 15, 30, 60분 처리하 여 MAPKs 및 IκBα 활성을 유도하고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통 해 그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RANKL을 처리한 후 측정한 ERK, JNK, p38 및 IκBα의 인산화(phosphorylation)가 CF-E를 처리한 실험군 에서도 대조군과 확률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는 거의 동일한 정도로 증 가되는 양상을 보였다(Fig. 4A). RANKL/MAPKs/NF-κB 신호전달 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파골세포 전사인자인 c-Fos와 NFATc1 발 현양상을 분석하였다(Fig. 4B). CF-E를 처리한 실험군과 처리하지 않 은 대조군 모두에서 RANKL에 의한 신호전달 유도 후 c-Fos의 발현이 6시간 후 가장 증가된 동일한 발현 양상을 보였고, CF-E를 처리한 실 험군에서 c-Fos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다(Fig. 4B, upper panel). 또한,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 을 하는 전사인자인 NFATc1의 발현에서의 CF-E 효과를 측정한 결과, RANKL을 처리한 후 그 발현이 증가되어 높은 농도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이는 대조군에 비해 CF-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NFATc1의 발현이 파골세포 분화과정 전 기간 동안 급격하게 감소되었다(Fig. 4B, lower panel). 이러한 결과들은 CF-E에 의한 c-Fos/NFATc1의 억제 효과 는 MAPKs/NF-κB를 통한 신호전달 조절에 의한 기전 때문이 아니라 RANKL에 의한 또 다른 기전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RANKL에 의한 PLCγ 조절 양상을 조사하였다(Fig. 4C). RANKL 처리에 의해 파골세포 분화과정 동안 PLCγ1 및 PLCγ2 의 인산화는 파골세포 분화과정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LCγ1 는 배양 2, 3일, PLCγ2는 3, 4일에서 가장 높은 인산화를 보였다. 그러 나 CF-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PLCγ1 및 PLCγ2의 인산화가 상당히 억제되어 파골세포 분화과정 동안 오히려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 다. 이상의 결과들은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NFATc1의 발현 증가가 CF-E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PLCγ1 및 PLCγ2의 활성화가 억제됨으 로써 NFATc1의 발현이 감소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호전달 기전에 의 해 NFATc1의 조절받는 많은 유전자들의 전사가 억제되어 파골세포의 분화, 생성 및 활성이 억제됨을 보여준다.
Discussion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에서 골다공증을 포함한 뼈 손실(bone loss) 을 동반하는 뼈 질환에 대한 전통 의약품으로 사용된 다양한 식물의 추 출물 및 유효성분들의 약효를 입증해 왔다[26]. 이러한 식물 추출물 및 유효성분들의 잠재적인 뼈 손실 억제 효과들이 제시되었지만, 이들 중 일부만이 생리학적, 약리학적 특성 및 작용 기전에 대해 적절하게 연구 되었고, 제시된 일부 약용 식물은 다양한 효과와 작용 기전에 의해 파골 세포, 조골세포 또는 두 세포 모두의 분화, 생성 및 활성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6]. 연구된 많은 약용 식물 추출물의 작용 기전은 MAPKs 및 NF-κB을 통한 세포 내 신호 전달(intracellular signaling) 을 활성화 시키고, 이러한 신호전달에 의해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 조절 전사인자인 c-Fos 및 NFATc1의 발현을 조절한다[27,28].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 Koehne)의 과실인 모과(Chaenomelis Fructus)는 한국, 중국 및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차 (teas), 시럽(syrups), 껌(gums), 케이크(cakes) 및 와인(wines)의 식 품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인후염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전 통적인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16,17]. 이러한 다양한 모과의 효능 이 알려있지만, 파골세포를 비롯한 뼈 세포(bone cells), 뼈 대사(bone metabolism) 및 뼈 질환(bone diseases) 관련 분야에서는 그 효능 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파골세포 분화, 생성 및 활성 에 있어서 모과 에탄올 추출물(CF-E)의 억제효과를 규명하였다. 모과 추출물을 구성하는 많은 활성성분 분석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essential oil, flavonoids, phenolics, proanthocyanidins, tannins 그 리고 triterpenes 등의 주요 화학적 성분들을 분석하였고, 생물학적 활 성에 대해 보고하였다[16-19]. 이러한 성분들 중 ursolic acid는 모과 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triterpene acid이며, 항산화, 항종양, 항 치매(anti-dementia) 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적인 활성이 보고되었다 [29]. 최근 논문에 ursolic acid가 MAPKs, NF-κB 및 activator protein- 1을 활성화 시켜 조골세포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함으 로써 in vitro 조골세포의 분화와 in vivo 뼈 형성을 유도하는 anabolic 활성을 보임이 보고되었다[30]. 다른 한편으로는 ursolic acid 처리 에 의해 RANKL에 의한 유도되는 NF-κB 및 JNK 신호전달이 감소되 며 이로 인해 NFATc1의 발현이 감소되어 파골세포의 분화가 억제된다 는 연구가 보고되었다[31]. 또 다른 triterpene acid인 oleanolic acid 는 RANKL/RANK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공동자극신호 전달 경로인 PLCγ2/Ca2+-oscillation의 억제를 통해 NFATc1의 발현을 감소시킴으 로써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고,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 vivo 뼈 손실을 감소시켰다[32]. 본 연구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은 농도(20 μg/mL)의 CF-E를 처리한 후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 화과정에서의 세포내 신호전달을 측정한 결과, 파골세포 분화, 생성 및 활성화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인 NFATc1의 발현이 급 격히 억제되었고, 이러한 NFATc1 발현 억제 효과는 MAPKs/IκBα/ c-Fos를 통한 신호전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RNAKL 자극에 의한 또 다른 신호전달 경로인 PLCγ (PLCγ1, 2) 활성 감소를 유도하여 발생하 였고, 최종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을 억제하였다(Figs. 2 and 4). 이러 한 억제 기전은 앞에서 설명한 CF-E의 성분인 oleanolic acid의 파골 세포 억제 기전과 유사하다. Triterpene acid 중 oleanolic acid 이외 CF-E의 다른 활성성분들은 PLCγ/NFATc1을 통한 세포내 신호전달 경 로가 아닌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을 억 제하였다[33-35]. 따라서 본 연구의 실험 및 방법에 기술된 추출방법으 로 얻어 사용된 CF-E의 억제효과는 oleanolic acid에 의한 것으로 추 정된다. 그러나 정확한 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CF-E의 유효성분 분석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CF-F 의 주요 유효 활성성분들을 자세히 분석한다면 CF-F의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 억제 작용기전을 더욱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 과의 약리학적 유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골다공 증(osteoporos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및 치주염 (periodontitis)과 같은 뼈 손실을 동반하는 뼈 질환 동물 모델을 사용하 는 향후 연구는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 생성 및 뼈 대 사에서의 정확한 CF-E 효능을 이해할 수 있는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