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7155(Print)
ISSN : 2287-6618(On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46 No.4 pp.155-159
DOI : https://doi.org/10.11620/IJOB.2021.46.4.155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to detect Fusobacterium hwasookii strains

Yun Kyong Lim1, Joong-Ki Kook1,2*
1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and Department of Oral Biochemistry,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Gwangju 61452,
Republic of Korea
2Institute of Dental Science, Chosun University, Gwangju 61452,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Joong-Ki Kook, E-mail: jkkook@chosun.ac.kr
October 19, 2021 December 7, 2021 December 7, 202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ai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imers to detect Fusobacterium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 F. hwasookii KCOM 1256, F. hwasookii KCOM 1258, and F. hwasookii KCOM 1268 on the basis of nucleotide sequences of a gene specific to each strain. The unique genes for each F. hwasookii strain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ir genome sequences using Roary. The strain-specific PCR primers based on each strain-specific gene were designed using PrimerSelect. The specificity of each PCR primer was determined using the genomic DNA of the 5 F. hwasookii strains and 25 strains of oral bacterial species. The detection limit and sensitivity of each strain-specific PCR primer pair were determined using the genomic DNA of each target str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ain-specific PCR primers correspond to F.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 F. hwasookii KCOM 1258, F. hwasookii KCOM 1256/F. nucleatum subsp. polymorphum KCOM 1260, or F. hwasookii KCOM 1268/Fusobacterium sp. oral taxon 203 were developed. The detection limits of these strain-specific PCR primers ranged from 0.2 to 2 ng of genomic DNA for each target strai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strain-specific PCR primers are valuable in quality control for detecting specific F. hwasookii strains.



초록


    © The Korean Academy of Oral Biolog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troduction

    Fusobacterium hwasookii 는 그람 음성의 혐기성 세균으로 한국 인의 치주질환에 이환된 치아의 치은연하치면세균막에서 분리되어 새 로운 종으로 보고되었다[1]. 현재까지 F. hwasookii 균종은 한국인에 서 분리된 5개 균주(ChDC F128T, ChDC F145, ChDC F174, ChDC F206, and ChDC F300)만이 보고되었다.

    세균 종 수준에서의 분류에 있어 중요한 기준은 16S ribosomal gene (16S rDNA) 핵산 염기서열비교분석법과 세균 지놈 핵산염기서 열 기반의 상동성 비교법이다[2,3]. 즉, 분류가 필요한 균주 16S rDNA 의 상동성이 기존 세균 종의 표준균주와 98.6% 이상이면서, 지놈 핵산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digital DNA-DNA hybridization이라 할 수 있 는 genome-to-genome distance 분석법 또는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분석법에 의한 값이 각각 70% 이상 또는 94–95% 이 상이면, 이들이 같은 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3]. ANI 분석법에 의하면, 비교하고자 하는 두 균주의 지놈 핵산염기서열 중 60% 이상이 비교 대 상이 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4]. 이는 같은 세균 종이라도 유전자 핵 산염기서열은 40%까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균 균주의 보존 과정에서 균주 수준에서의 동정을 위해, 균주-특이 DNA 프로브 핵산염기서열을 기반으로 균주-특이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프라이머가 개발되어 보고되었다[5-7]. 본 연구는 5개 F. hwasookii 균주 각각의 지놈 핵산염기서열의 상동성 비교 분석을 통 해 각 균주에만 존재하는 유전자를 찾고, 해당 유전자의 핵산염기서열 을 바탕으로 각 균주를 동정할 수 있는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를 개 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Materials and Methods

    1. 세균 및 세균 배양

    본 연구에서 사용된 균주들은 Table 1에 정리하였다. 이들 균주들 은 한국구강미생물자원은행(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Gwangju, Korea),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Biological Resource Center, Daejeon, Korea) 및 Culture Collection, University of Göteborg (CCUG, Göteborg, Sweden) 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Fusobacterium spp., Capnocytophaga spp., Prevotella spp., Leptotrichia bucc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Campylobacter rectus, Tannerella forsythiaSelenomonas noxia 균주들 은 tryptic soy broth (BD Diagnostics, Spark, MD, USA)에 0.05% cysteine HCl-H2O, 0.5% yeast extract, 5 μg/mL hemin 및 2 μg/mL vitamin K1이 첨가된 배지를 이용하여 85% N2, 10% CO2, 5% H2 가스를 공급한 37℃ 혐기성 세균배양기(Bactron I; Sheldon Manufacturing Inc., Cornelius, OR, USA)에서 배양하였다. Streptococcus spp., Actinomyces naeslundii, Neisseria meningitidis 균주들은 brain heart infusion (BD Diagnostics) 배지를 이용하여 37℃, CO2를 공급하는 세균배양기(Thermo Forma, Waltham, MA, USA)에서 배양하였다[8].

    2. F . hwasookii 5개 균주에 대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 설계

    본 연구에서 사용된 5개의 F. hwasookii 균주들의 지놈 핵산염기서 열(Table 2)을 바탕으로, 각 균주에만 존재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해, 웹 사이트(http://sanger-pathogens.github.io/Roary)에서 제공하는 대량의 지놈 핵산염기서열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Roary 프로 그램[9]을 이용하여 각각의 균주들에만 존재하는 유전자를 검색하였다. 이들 중에서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의 핵산염기서열을 바탕으로, PrimerSelect 프로그램(DNASTAR Inc., Madison, WI, USA)을 이 용하여 PCR 프라이머 쌍을 설계하였다. 이들의 핵산염기서열 및 예상 되는 PCR 증폭물의 크기는 Table 3에 정리하였다. 이들 PCR 프라이 머들은 바이오니아사(Daejeon, Korea)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다.

    3. F . hwasookii 5개 균주에 대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들의 종-특이성 및 민감도(검출 한계) 검증

    본 연구에서 이용된 균주들의 지놈 DNA는 C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방법에 따라 추출하였다[10]. 추출된 지놈 DNAs는 26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비색정량기(EpochTM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F. hwasookii 5개 균주 각각에 대한 PCR 프라이 머 쌍들의 균주 특이성 검증은 AccuPower® PCR PreMix (Bioneer) 와 MyGenieTM 96 Gradient Thermal Block (Bioneer)을 사용하였 다. 즉, PCR PreMix 반응 튜브에 2 ng의 지놈 DNA, 각각의 프라이머 쌍을 1 pmole 넣고, 최종 20 μL가 되도록 나머지는 멸균된 증류수를 넣었다. PCR 반응은 전변성 과정(95℃에서 5분) 후, 변성과정(95℃에 서 30초), 결합과정(Table 3의 각 균주에 해당하는 온도에서 30초), 중 합과정(72℃에서 30초) 등을 30회 시행하고, 최종 중합과정(72℃에서 5분)을 시행하였다. PCR 증폭물 확인은 아가로스 젤을 매질로 이용하 여 전기영동하고, GoodViewTM Nucleic Acid Stain (SBS Greetech, Beijing, China)으로 염색하여 UV transilluminator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F. hwasookii 5개 균주 특이 PCR 프라이머 쌍들 의 민감도는 각각의 균주 지놈 DNA를 2 ng부터 2 fg까지 10배씩 순차 적으로 희석하여 PCR 주형으로 이용하였으며, 앞에서 시행한 균주 특 이성 검증을 위한 PCR과 같은 조건에서 PCR을 시행하여 측정하였다.

    Results

    F. hwasookii 5개 균주 각각에 대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을 개발하기 위해서, 이들 균주들의 지놈 핵산염기서열을 미국국립보건원에 서 제공하는 Genome 검색 프로그램(www.ncbi.nlm.nih.gov)에서 내 려받아, 각 균주에만 있는 유전자를 Roary 프로그램[9]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Supplementary Tables 1–5). 그 결과, KCOM 1249T, KCOM 1253, KCOM 1256, KCOM 1258, KCOM 1268 균주 각각에만 존 재하는 유전자 수는 282, 70, 279, 149, 227개였다(Supplementary Tables 1–5). 이들 중, 균주-특이성을 높이기 위해, 아직 기능이 밝혀지 지 않은 유전자(hypothetic gene)를 무작위로 골라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을 설계하기 위한 주형 유전자로 정하였다(Table 3).

    F. hwasookii 5개 균주 각각에 대한 PCR 프라이머 쌍의 균주-특 이성을 F. hwasookii와 유전학적으로 유사한 종인 Fusobacterium spp.와 L. buccalis 균주들의 지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 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5개 프라이머 쌍 모두 각각의 표적이 되는 F. hwasookii 균주 지놈 DNA를 주형으로 한 경우에서만 예상되는 크기 의 PCR 증폭물이 생성되었다(Fig. 1). 또한, F. hwasookii 5개 균주 각 각에 대한 PCR 프라이머 쌍의 균주-특이성을 17개 구강 내 세균 종 각 각의 표준균주 지놈 핵산염기서열을 주형으로 PCR을 수행하여 조사한 결과에서도, 각각의 표적이 되는 F. hwasookii 균주 지놈 DNA를 주형 으로 한 경우에서만 PCR 증폭물이 생성되었다(Fig. 2).

    본 연구에서 설계한 F. hwasookii 5개 균주 각각에 대한 균주-특 이 PCR 프라이머 쌍의 민감도(검출한계)를 측정한 결과, F128-F7/ F128-R7, F174-F2/F174-R2, F206-F3/F206-R3과 F300-F1/ F300-R2 쌍들은 각각 F.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6, F. hwasookii KCOM 1258 및 F. hwasookii KCOM 1268 균주 지놈 DNA 2 pg까지 검출이 가능하였고, F145-F1/F145- R1 쌍은 F. hwasookii KCOM 1253 균주 지놈 DNA 0.2 pg까지 검 출할 수 있었다(Fig. 3).

    Discussion

    본 연구는 F.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 F. hwasookii KCOM 1256, F. hwasookii KCOM 1258 및 F. hwasookii KCOM 1268 각각의 지놈 DNA 핵산염기서열을 Roary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균주들에만 존재하는 유전자 핵산염기서열 을 바탕으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F.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 F. hwasookii KCOM 1256, F. hwasookii KCOM 1258 및 F. hwasookii KCOM 1268 각각의 균주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F128- F7/F128-R7, F145-F1/F145-R1, F174-F2/F174-R2, F206- F3/F206-R3 및 F300-F1/F300-R2 쌍들이 설계되었으며, 25종 구 강 세균 균주들의 지놈 DNA를 이용하여 균주-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하 였다(Figs. 1 and 2). 또한, 이들 프라이머 쌍들은 F. hwasookii 5개 균주 각각의 지놈 DNA를 2 pg 또는 0.2 pg까지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Fig. 3).

    본 연구에서 설계된 F. hwasookii 5개 균주 각각에 대한 프라이 머 쌍들의 균주-특이성을, 미국국립보건원에서 제공하는 핵산염기 서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Blastn 검색 프로그램(https:// blast.ncbi.nlm.nih.gov)을 이용하여 추가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F. hwasookii KCOM 1249TF. hwasookii KCOM 1253 균주 각각 에 대한 균주-특이 프라이머 쌍들(각각 F128-F7/F128-R7와 F145- F1/F145-R1)의 전방 및 후방 프라이머 핵산염기서열 모두에 대한 100% 상동성을 갖는 다른 균주는 검색되지 않았다(데이터 제시는 생 략). F. hwasookii KCOM 1258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 중 전 방 프라이머(F206-F3)의 핵산염기서열과 100% (22/22) 일치하는 부분이 Fusobacterium pseudoperiodonticum KCOM 2555과 F. pseudoperiodonticum KCOM 2653 균주 지놈 핵산염기서열(각각 GenBank accession no. CP024704와 CP024705)에 존재하였지 만, 후방 프라이머(F206-R3)의 핵산염기서열과 상동성이 있는 부분 은 F. pseudoperiodonticum KCOM 2555과 F. pseudoperiodonticum KCOM 2653 균주 지놈 핵산염기서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데 이터 제시는 생략). 또는 전방 및 후방 프라이머들 모두와 상동성이 있 는 균주는 존재하지 않았다. 즉, 본 연구에서 설계된 F128-F7/F128- R7, F145-F1/F145-R1와 F206-F3/F206-R3 프라이머 쌍들은 각 각 F.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과 F. hwasookii KCOM 1258 균주들에 대한 균주-특이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F. hwasookii KCOM 1256 균주-특이 PCR 프라이 머 쌍이라 조사되었던 전방 프라이머(F174-F2)와 후방 프라이머 (F174-R2) 핵산염기서열은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polymorphum KCOM 1260의 지놈 핵산염기서열(GenBank accession no. CP21934)의 각각 2,032,435...2,032,412 nts와 2,031,810..2,031,832 nts 핵산염기서열과 95.83% (23/24, 5’에서 5번째 핵산염기서열이 guanine 대신 thymidine임)와 100% (23/23) 상동성을 보였다. 전방 프라이머의 상동성이 95.83%이지만, 결합온 도를 낮출 경우 F174-F2/F174-R2 프라이머 쌍에 의해 F. nucleatum subsp. polymorphum KCOM 1260 지놈 DNA가 증폭될 확률 이 높고, 이때 예상되는 PCR 증폭물의 크기도 626 bp가 되기 때문에, F174-F2/F174-R2 프라이머 쌍은 F. hwasookii KCOM 1256와 F. nucleatum subsp. polymorphum KCOM 1260 균주를 모두 검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 hwasookii KCOM 1268 균주- 특이 PCR 프라이머 쌍이라 조사되었던 F300-F1와 F300-R2 프라이 머 쌍들의 핵산염기서열을 Blastn 검색 프로그램으로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Fusobacterium sp. oral taxon 203 지놈 핵산염기서열(Gen- Bank accession no. CP016200)의 각각 244,686..244,662 nts와 243,834..243,851 nts에 100% 상동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때 예상되는 PCR 증폭물 크기도 853 bp였다(데이터 제시는 생략). 이는 F300-F1/F300-R2 프라이머 쌍은 F. hwasookii KCOM 1268 과 Fusobacterium sp. oral taxon 203 균주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음 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을 설계할 때 에는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균주들의 지놈 DNA를 이용한 종-특이성 조 사를 위한 PCR을 시행하기 앞서, GenBank라는 핵산염기서열 데이터 베이스 기반 상동성 검색 프로그램인 Blastn을 이용한 상동성 검사를 시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Roary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F. hwasookii 5개 균주의 지놈 핵산염기서열 중 각각의 지놈에만 존재하는 유전자를 바탕으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를 설계한 결과, F.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와 F. hwasookii KCOM 1258 균주들 각각에 대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 을 개발하였으며, F. hwasookii KCOM 1256/F. nucleatum subsp. polymorphum KCOM 1260 균주들에 대한 특이 PCR 프라이머 쌍 및 F. hwasookii KCOM 1268/Fusobacterium sp. oral taxon 203 균주들에 대한 특이 PCR 프라이머 쌍을 개발하였다. 이들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들은 각각의 균주들의 정도 관리에 사용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 F. hwasookii KCOM 1256과 F. hwasookii KCOM 1268 각각에 대한 균주-특이 PCR 프라이머 쌍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2020-737716-01) 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Figure

    IJOB-46-4-155_F1.gif

    Specificity test of the F128-F7/F128-R7 primers (A), F145-F1/ F145-R1 primers (B), F174-F2/F174-R2 primers (C), F206-F3/F206-R3 primers (D) and F300-F1/F300-R2 primers (E) with 2 ng of genomic DNA of each type strain of Fusobacterium spp. and Leptotrichia buccalis .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ction products were electrophoresed on 1.5% agarose gel. Lanes: S, size marker; 1, negative control (distilled deionized water); 2, F. hwasookii KCOM 1249T; 3, F. hwasookii KCOM 1253; 4, F. hwasookii KCOM 1256; 5, F. hwasookii KCOM 1258; 6, F. hwasookii KCOM 1268; 7, F. nucleatum subsp. nucleatum ATCC 25586T; 8, F. nucleatum subsp. polymorphum ATCC 10953T; 9, F. nucleatum subsp. vincentii ATCC 49256T; 10, F. nucleatum subsp. animalis ATCC 51191T; 11, F. periodonticum ATCC 33693T; 12, F. necrophorum ATCC 25286T; 13, F. simiae CCUG 16798T; 14, L. buccalis CCUG 34316T.

    IJOB-46-4-155_F2.gif

    Specificity test of the F128-F7/F128-R7 primers (A), F145-F1/F145- R1 primers (B), F174-F2/F174-R2 primers (C), F206-F3/F206-R3 primers (D) and F300-F1/F300-R2 primers (E) with 2 ng of genomic DNA of each type strain of oral bacteria.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ction products were electrophoresed on 1.5% agarose gel. Lanes: S, size marker; 1, negative control (distilled deionized water); 2, positive control (Fusobacterium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 F. hwasookii KCOM 1256, F. hwasookii KCOM 1258, and F. hwasookii KCOM 1268 in (A), (B), (C), (D), and (E), respectively); 3, Actinomyces naeslundii CCUG 35333T; 4, Campylobacter rectus ATCC 33238T; 5, Capnocytophaga gingivalis ATCC 33624T; 6, Capnocytophaga ochracea KCTC 5787T; 7, Neisseria meningitidis ATCC 13077T; 8,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7T; 9, Prevotella baroniae CCUG 50418T; 10, Prevotella bivia ATCC 29303T; 11,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T; 12, Prevotella nigrescens ATCC 33563T; 13, Prevotella oralis ATCC 33269T; 14, Prevotella oris CCUG 15405T; 15, Selenomonas noxia KCTC 5746T; 16,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T; 17, Streptococcus sanguinis CCUG 17826T; 18, Streptococcus sobrinus ATCC 33478T; 19, Tannerella forsythia ATCC 43037T.

    IJOB-46-4-155_F3.gif

    Sensitivity test of the F128-F7/F128-R7 primers (A), F145-F1/F145- R1 primers (B), F174-F2/F174-R2 primers (C), F206-F3/F206-R3 primers (D) and F300-F1/F300-R2 primers (E) with the purified genomic DNA of Fusobacterium hwasookii KCOM 1249T, F. hwasookii KCOM 1253, F. hwasookii KCOM 1256, F. hwasookii KCOM 1258, and F. hwasookii KCOM 1268, respectivel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ction products were electrophoresed on 1.5% agarose gel. Lanes: S, 100 base pair DNA ladder (Bioneer, Korea); 1 through 7, purified genomic DNA serially diluted 10- fold, from 2 ng to 2 fg.

    Table

    The bacterial strains used in this study

    The GenBank accession numbers of the genomic DNA sequences of five Fusobacterium hwasookii strains

    The inform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designed in this study

    Reference

    1. Cho E, Park SN, Lim YK, Shin Y, Paek J, Hwang CH, Chang YH, Kook JK. Fusobacterium hwasookii sp. nov., isolated from a human periodontitis lesion. Curr Microbiol 2015;70:169-75.
    2. Krieg NR. Identification of procaryotes. In: Boone DR, Castenholz RW, Garrity GM, editor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nd ed. Vol. 1. New York: Springer; 2001. p. 33-8.
    3. Chun J, Oren A, Ventosa A, Christensen H, Arahal DR, da Costa MS, Rooney AP, Yi H, Xu XW, De Meyer S, Trujillo ME. Proposed minimal standards for the use of genome data for the taxonomy of prok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8; 68:461-6.
    4. Lee I, Ouk Kim Y, Park SC, Chun J. OrthoANI: an improved algorithm and software for calculating average nucleotide identity.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6;66:1100-3.
    5. Kim HS, Song SK, Yoo SY, Jin DC, Shin HS, Lim CK, Kim MS, Kim JS, Choe SJ, Kook JK.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PCR primers based on a DNA probe Fu12 for the identification of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nucleatum ATCC 25586T.J Microbiol 2005;43:331-6.
    6. Shin HS, Kim MJ, Kim HS, Park SN, Kim DK, Baek DH, Kim C, Kook JK.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PCR prim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fusiforme ATCC 51190T and subsp. vincentii ATCC 49256T. Anaerobe 2010;16:43-6.
    7. Kim MJ, Min JB, Lim SA, Kook JK. Strain-specific PCR primers for the detec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Int J Oral Biol 2011;36:79-82.
    8. Park SN, Lim YK, Kook JK.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ealtime PCR primers for detecting 42 oral bacterial species. Arch Microbiol 2013;195:473-82.
    9. Page AJ, Cummins CA, Hunt M, Wong VK, Reuter S, Holden MT, Fookes M, Falush D, Keane JA, Parkhill J. Roary: rapid large-scale prokaryote pan genome analysis. Bioinformatics 2015;31:3691-3.
    10. Wilson K. Preparation of genomic DNA from bacteria. Curr Protoc Mol Biol 2001;Chapter 2:Unit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