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7155(Print)
ISSN : 2287-6618(On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49 No.3 pp.79-86
DOI : https://doi.org/10.11620/IJOB.2024.49.3.79

Oral squamous carcinoma cells stimulat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derived lipopolysaccharide induce osteoclastogenesis through a paracrine mechanism

Bo Ram Keum, Soon Chul Heo, Hyung Joon Kim*
Department of Oral Physiology,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50612,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Hyung Joon Kim, E-mail: hjoonkim@pusan.ac.krhttps://orcid.org/0000-0002-2962-9553
July 11, 2024 July 26, 2024 July 26, 2024

Abstract


Periodontal disease (PD) is strongly linked to increased risk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however, the specific mechanism through which the development of PD and OSCC is simultaneously promoted remains unclear.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eriodontal pathogens on OSCC progression and the contribution of periodontal pathogen-stimulated OSCC to PD development. The expression of osteoclastogenesis-inducing factors was assess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following stimulation of OSCC with lipopolysaccharide (LPS) derived from the periodontal pathogen Porphyromonas gingivalis (Pg), a pathogen commonly responsible for PD. The cell counting kit-8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g-LPS on OSCC proliferation and drug resistance to cisplatin and 5-fluorouracil. The effects of conditioned medium (CM) derived from Pg-LPS–stimulated OSCC on osteoclastogenesis was evaluated using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taining o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Pg-LPS administration in SCC-25 and YD-8 OSCC cell lines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mRNA express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cell proliferation. Treatment with CM derived from Pg-LPS–stimulated SCC-25 or YD-8 cells markedly enhanced the formation of TRAP-positive multinucleated cells dur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of BMMs. Al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Pg-LPS–stimulated OSCC promoted osteoclastogenesis through a paracrine mechanism.



초록


    © The Korean Academy of Oral Biolog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troduction

    구강질환은 전 세계적 중요한 건강 문제로,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치료 비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1,2]. 구강질환은 흡연, 호르몬, 스트레스, 구강 위생 불량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발병되며,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 치주염(periodontitis)과 구강암이 있다[1,3].

    최근 구강질환에 대한 연구는 골 면역(osteoimmunology)과 구강 미생물(oral microbiome)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4,5]. 치아에 음식물이나 침 등의 여러 물질들이 부착되고, 시간이 지나면 치석, 치태로 변하게 된다[6]. 이는 구강 내에 서식하고 있는 치주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치주염과 구강암 등 구강질환 발병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고 알려져 있다[7].

    구강 미생물은 음식 섭취와 호흡 등을 통해 구강 내에 형성되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한다[4]. 그러나, 치주질환이나 감염성 질환에 의해 유익균과 유해균 간의 균형이 깨지면 구강질환뿐만 아니라 전신질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8]. 이에 따라 구강 미생물이 치주질환의 발병과 감염성 및 전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치주염은 치주균에 의해 발병되는 염증성 질환으로, 치주염의 원인균으로는 Fusobacterium nucleatum (F. nucleatum; Fn), Tannerella forsythia,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 Pg) 등이 있다[3]. 대표적인 치주균 Pg는 만성 염증 유발을 통해 암의 발병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강한 환자에 비해 구강편평상피세포암(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환자에서 치주균인 Pg가 많이 발견되기도 하였다[3,9]. 치주균 Pg의 세포벽 외막 구성 성분인 lipopolysaccharide (LPS)는 체내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1β, IL-6 등의 사이토카인 및 nitric oxide 등 다양한 물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염증성 질환인 치주염을 비롯하여 구강암과 같은 구강질환의 발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치주 조직은 뼈의 형성과 파괴를 통한 골 항상성을 조절하는 골 대사(bone metabolism)가 일어나는 역동적인 조직으로,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와 노화된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osteoclast) 간의 균형으로 유지된다[10,11]. 호르몬, 노화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간의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면, 골다공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흡수성 골 질환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11-13].

    파골세포는 monocyte/macrophage lineage 세포로서,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M-CSF)와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에 의해 골 흡수에 관여하는 다핵형 세포이다[5,10,11]. 대표적인 osteoclastogenic 사이토 카인으로 RANKL, M-CSF, IL-6 등이 있으며, 이 중 RANKL은 파골 세포의 분화·생존·증식 등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이다[5]. 이에 반해 anti-osteoclastogenic 인자인 osteoprotegerin (OPG)은 RANKL의 decoy receptor로, 파골세포 분화 억제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치주균인 Pg 유래 LPS(Pg-LPS)에 자극되어진 OSCC에서 osteoclastogenic factor 발현 변화를 확인하고, Pg-LPS에 자극된 OSCC로부터 수득한 조건 배양액(conditioned media, CM)이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치주질환과 구강 암의 발병 과정에 있어서의 치주균의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1. Cell culture

    본 실험에 사용한 OSCC cell lines인 Ca9-22, SCC-25 cells은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 유미현 교수에게 제공받았다. 이외의 HSC-3, YD-8 cells은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Ca9-22, HSC-3, SCC-25 cells은 10% fetal bovine serum (FBS; Thermo Fisher Scientific), 1 × penicillin/streptomycin (P/S; Thermo Fisher Scientific)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elgene)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YD-8 cells은 10% FBS, 1 × P/S, 300 mg/mL Lgulutamin 및 25 mM Hydroxyethyl piperazine Ethane Sulfonicacid (HEPES)가 첨가된 RPMI-1640 (Welgene) 배지를 사용하여 37℃, CO2 incubator에 배양하였다.

    2. Conditioned media

    SCC-25 및 YD-8 cells의 CM을 수집하기 위해 100 mm dish 내에 약 80–100% confluence로 배양한 후 두 그룹으로 나누어 1 μg/ mL Pg-LPS (InvivoGen)를 첨가하거나(LPS CM), 첨가하지 않고(con CM) 24 hours 배양하였다.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Welgene)을 이용하여 수세한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기본 배지로 교체하여 24 hours 추가 배양하였다. 다음 날, 두 그룹의 배양액을 각각 모아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모아 0.45 μm filter(GE Healthcare)로 필터한 후 소량씩 분주하여 –80℃에 보관하였다.

    3.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isolation and osteoclast differentiatio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분리를 위하여 5 주령 ICR mouse에서 경골 및 대퇴골을 추출한 후 뼈 양쪽 끝을 절단하고 α-MEM (Welgene) 배지가 담겨있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골수 조직을 세척(flushing)하여 모아주었다. ACK buffer (Qiagen)를 이용하여 red blood cells을 용해한 후 α-MEM 배지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3일 후 부유세포를 회수하여 원심분리한 후, 30 ng/mL rhM-CSF (PeproTech)가 포함된 α-MEM 배지에 3일간 추가로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파골세포 분화를 위하여 48 well plate에 30 ng/mL M-CSF가 포함된 배지를 이용하여 BMMs를 seeding한 후 24 hours 배양하였다. 100 ng/mL sRANKL (Prospec Biotec), 30 ng/mL M-CSF가 포함된 배지로 2일간 배양한 후, 두 그룹으로 나누어 con CM 및 LPS CM이 포함된 배지로 2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실험은 부산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PNU-2024-0434)의 윤리 규정에 따라 실험하였다.

    4. RNA extraction an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세포에서 RNeasy mini kit (Qiagen)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에 각 dNTP Mix, Oligo (dT) primer, Maxima H Minus Reverse Transcriptase (Thermo Fisher Scientific)를 혼합하고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기기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PCR amplification은 cDNA, primer, SYBR green qPCR kit (Enzynomics)를 사용하였으며, AB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CR 조건으로는 95℃에서 10 minutes 동안 initial denaturation step을 거치고, 95℃에서 15 seconds 간 denaturation, 60℃에서 15 seconds 간 annealing, 72℃에서 20 seconds 간 extension의 과정을 40회 반복하였다. 각 genes 발현양은 2 –Δ ΔCT method를 이용하였으며, 내인성 대조군 유전자인 Actin Beta (ACTB)를 사용하여 상대 정량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유전자에 대한 primer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5.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staining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taining kit (Sigma-Aldrich)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염색하였다. 4% formaldehyde를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한 후, 0.1% Triton X-100을 처리하였다. 증류수로 3회 수세한 후, 염색 시약을 처리하고 37℃ incubator에서 1 hour 반응시키고, 3회 수세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3개 이상의 핵을 포함하고 있는 TRAP 양성 다핵세포(multinucleated cells, MNCs)를 계수하였으며, 이는 ImageJ를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6. Cell proliferation assay

    Cisplatin과 5-fluorouracil(5-FU; Selleckchem)에 대한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IC50) 및 Pg-LPS 처리에 따른 cell proliferation을 측정하기 위해 cell counting kit (CCK)- 8 (Dojindo)를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1 × 104 cells/well 을 seeding한 후, 다양한 농도의 cisplatin과 5-FU가 포함된 배지에 Pg-LPS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배양하였다. 24 hours 혹은 48 hours 후에 CCK-8 시약을 첨가하고 1 hours 추가 배양한 후 45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7. Statistical analysis

    본 실험 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시하였다. 두 그룹 간의 차이는 Student의 t-검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중 비교를 위해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사용한 일원(one-way) 또는 이원(two-way) 분산 분석(ANOVA)이 사용되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나타내었다.

    Results

    1. Pg-LPS가 OSCC의 RANKL 발현에 미치는 영향

    다양한 OSCC 세포주에서 발현하는 파골세포 분화물질 RANKL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Ca9-22, HSC-3, SCC-25, YD-8 cells에서 RANKL mRNA 발현양을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RANKL 발현 양은 HSC-3 cell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1A). 다음으로,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균인 Pg가 분비하는 독성인자 Pg-LPS를 24 hours 처리한 후, 각 세포별의 RANKL mRNA 발현 양 변화를 확인하였다. Ca9-22, SCC-25, YD-8 cells은 control에 비해 Pg-LPS 처리군에서 RANKL mRNA 발현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HSC-3 cells에서는 Pg-LPS 처리 시, RANKL mRNA 발현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1B).

    Pg-LPS 처리 시 RANKL mRNA 발현이 높았던 SCC-25, YD-8 cells에서 Pg-LPS 시간별 처리에 따른 RANKL mRNA 발현 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g-LPS를 처리하고 24 hours의 간격으로 72 hours 동안 관찰하였을 때, 24 hours이 경과 후, control에 비해 RANKL mRNA 발현 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1C and 1D). 본 결과는 Pg-LPS가 구강암 세포주의 RANKL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2. Pg-LPS가 SCC-25, YD-8 cells의 M-CSF, OPG, IL-6 발현에 미치는 효과

    Pg-LPS에 자극된 SCC-25, YD-8 cells에서 RANKL 외 파골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M-CSF, OPG, IL-6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자 하였다. SCC-25, YD-8 cells에서 Pg-LPS를 24 hours 처리한 후, RT-qPCR을 이용하여 M-CSF, OPG, IL-6 mRNA 발현 양을 확인하였다. SCC-25 cells에서 M-CSF와 IL-6 mRNA 발현 양은 Pg-LPS 처리군에서 contro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OPG mRNA 발현 양에서 control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2A2C).

    YD-8 cells에서는 M-CSF mRNA 발현 양이 control과 Pg-LPS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OPG mRNA 발현 양에서는 control에 비해 Pg-LPS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IL-6 mRNA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2D2F). 이에 따라 SCC-25, YD-8 cells에서 Pg-LPS를 처리하였을 시, 파골세포 분화 인자인 RANKL mRNA 발현뿐만 아니라 M-CSF, OPG, IL-6 mRNA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Pg-LPS가 SCC-25, YD-8 cells의 cisplatin, 5-FU 항암제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SCC-25, YD-8 cells에 Pg-LPS를 24 hours 혹은 48 hours 처리한 후, 세포의 증식을 CCK-8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SCC-25, YD-8 cells 두 처리군 모두에서 세포 증식에 대한 Pg-LPS의 유의미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3A and 3D).

    Pg-LPS에 자극되어진 SCC-25, YD-8 cells에 항암제인 cisplatin 과 5-FU가 미치는 항암제 민감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cisplatin과 5-FU를 처리한 후 CCK-8 assay를 통하여 IC50을 확인하였다. SCC-25 cells에서 각 cisplatin, 5-FU에 대한 IC50은, control 에서 3.81 μM, 4.16 μM, Pg-LPS 처리군에서 3.53 μM, 4.31 μM인 것을 확인하였다(Fig. 3B and 3C). YD-8 cells에서 각각 cisplatin, 5-FU를 농도별 처리 후, IC50을 확인한 결과, control에서 4.53 μM, 4.03 μM, Pg-LPS를 처리하였을 시, 3.80 μM, 4.04 μM로 확인하였다(Fig. 3E and 3F). 추가적으로, control에 비해 Pg-LPS 농도 0.3 μM와 1 μM 처리군에서 cisplatin에 대한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4. Pg-LPS에 의해 자극되어진 SCC-25, YD-8 cells이 파골 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Pg-LPS에 의해 자극되어진 SCC-25, YD-8 cells이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SCC-25, YD-8 cells에 Pg-LPS를 처리하지 않거나(con CM) 혹은 처리한(LPS CM) 후 세포 CM을 수득 하였다. 그 다음 BMMs를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과정 중에 각각의 CM 을 첨가하여 TRAP staining을 통해 파골세포 분화에 CM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TRAP staining을 통해 파골세포 분화 여부를 확인한 결과, positive control인 M-CSF+RANKL 처리군에서 파골세포가 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Fig. 4B). YD-8 con CM과 LPS CM 간의 TRAP 염색 여부를 확인한 결과, M-CSF+RANKL 처리군과 YD-8 con CM에 비해 YD-8 LPS CM의 TRAP 양성 MNCs(TRAP+MNCs) 수가 증가하는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TRAP 양성 MNCs의 면적을 확인하였을 시, YD-8 cells에서는 con CM과 LPS CM 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4C). SCC-25 cells의 경우 con CM과 LPS CM에 서 M-CSF+RANKL 처리군에 비해 TRAP 양성 MNCs의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SCC-25 LPS CM 처리군에서 TRAP 양성 MNCs의 면적이 M-CSF+RANKL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SCC-25 con CM과 SCC-25 LPS CM 간의 TRAP 양성 MNCs 수와 면적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Fig. 4C and 4D). 따라서 본 결과는, Pg-LPS 처리에 따른 SCC-25와 YD-8 cells은 국소 분비 기전을 통하여 파골세포의 수와 크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Discussion

    사람의 구강에는 약 700종 이상의 미생물이 군집하고 있다. 구강 내 미생물과 여러 요인으로 인해 염증성 장 질환, 구강암, 췌장암, 당뇨병, 치주질환 등 여러 질병의 발병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된다 [14]. 구강 내 미생물과 여러 질병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치주균에 자극된 OSCC가 분비하는 osteoclastogenic 인자 변화와 치주균인 Pg-LPS에 자극된 OSCC의 CM이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치주질환은 구강 내 만성 염증 및 골 소실을 초래하는데, 치주균인 Pg 와 Fn에 감염된 치주질환 환자는 OSCC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15,16], 염증성 사이토카인, matrix metalloproteinases, RANKL과 같은 질병의 발전과 관련 있는 물질들의 발현 또한 두 질병 사이에서 비슷하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17,18].

    Pg-LPS는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MSCs) 의 exosome 내 RANKL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g-LPS를 처리하여 수득한 BMSCs 유래 exosome이 RAW264.7의 TRAP 양성 MNCs 형성을 증가시켰다[19]. 이 결과는 Pg-LPS에 의해 증가된 exosome 내 RANKL의 발현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Pg- LPS가 RANKL의 발현을 통하여 OSCC가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시 킬 수 있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두경부암세포주인 UM-SCC cells의 이식은 동물 모델에서 RANKL의 발현을 통하여 파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켰고, 이를 통해 골 용해성 뼈 소실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20].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OSCC가 RANKL의 발현을 통해서 파골세포의 활성으로 치주 질환의 발달을 자극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RANK/RANKL/OPG pathway는 골 형성과 골 소실의 균형인 골 항상성에 주요 신호 전달기전이다[5,21,22]. 조골세포에서 발현되는 RANKL은 조골세포 분화 및 성장의 주요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RANKL의 receptor인 RANK와 결합을 통해 파골세포의 성숙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21]. RANKL/RANK/OPG pathway는 구강암에서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구강암의 전이 과정 중 치주 질환으로 인한 해당 신호기전의 활성은 파골세포의 형성을 통해 암세포가 뼈로 침윤되는 것을 돕는 것으로 보고됐다[8]. 따라서, 치주균 Pg에 자극되어진 OSCC의 RANKL 신호기전은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고 이를 통해 암세포의 전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양성 피드백(positive feedback)을 통하여 구강암과 치주질환이 서로 발달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IL-6는 조골세포에서 RANKL 발현 촉진 및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함으로써 골 항상성, 면역반응 등에 다양한 기능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23,24]. 하지만, IL-6는 염증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과 같은 골 소실과 관련된 질병에서 발현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됐으며[22-24], IL-6 및 IL-6 receptor를 타깃으로 하는 tocilizumab, sarilumab, olokizumab이 골 소실성 질환 치료제로 승인되었다[24,25]. 본 연구에서 YD-8에 Pg-LPS를 처리하였을 시, IL-6 발현 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Pg-LPS에 의한 OSCC 내 IL-6 발현 증가는 생체 내에서 치주질환으로 인한 구강암 세포의 IL-6 발현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증가된 IL-6의 발현이 치주질환을 비롯한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염증성 골 소실성 질환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본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을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치주균 유래 독성인자인 Pg-LPS에 의해 파골세포 분화 조절인자 RANKL이 OSCC 내에서 증가될 수 있으며, 증가된 RANKL 이 파골세포의 형성 촉진을 통해서 치주질환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본 결과는 질병 발달 과정에 있어서의 치주질환과 구강암의 새로운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치주질환 및 구강암 치료를 위한 전략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nding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IJOB-49-3-79_F1.gif

    The effect of RANKL mRNA expression in OSCC. (A) mRNA expression of RANKL in OSCC (Ca9-22, HSC-3, SCC-25, and YD-8 cells) was measured using RT-qPCR. (B) Cells were treated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1 μg/mL Pg-LPS for 24 hours, and then RANKL mRNA levels were measured. (C) SCC-25 and (D) YD-8 cells were treated with 1 μg/mL Pg-LPS for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Then, RANKL mRNA levels were measured.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OSCC,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RT-qPCR,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g, Porphyromonas gingivalis ; LPS, lipopolysaccharide.

    *p < 0.05, **p < 0.01, ***p < 0.001 by one-way ANOVA.

    IJOB-49-3-79_F2.gif

    The effect of Pg-LPS stimulation on the mRNA expression of M-CSF, OPG, and IL-6 in SCC-25 and YD-8 cells. SCC-25 and YD-8 cell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1 μg/mL Pg-LPS for 24 hours. Then, (A, D) M-CSF, (B, E) OPG, and (C, F) IL-6 mRNA were measured using RT-qPCR.

    Pg, Porphyromonas gingivalis ; LPS, lipopolysaccharide; M-CSF,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OPG, osteoprotegerin; IL, interleukin; RT-qPCR,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 < 0.05 by t-test.

    IJOB-49-3-79_F3.gif

    Effects of Pg-LPS on proliferation and drug resistance in SCC-25 and YD-8 cells. (A) Cell proliferation of SCC-25 and (D) YD-8 cells analyzed using cell counting kit (CCK)-8 for 24 hours and 48 hours. (B, C) The effects of Pg-LPS on drug resistance of SCC-25 and (E, F) YD-8 to cisplatin and 5-fluorouracil (5-FU) were analyzed by CCK-8 assay.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cisplatin (0–30 μM) and 5-FU (0–1,000 μM)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1 μg/mL Pg-LPS for 24 hours.

    Pg, Porphyromonas gingivalis ; LPS, lipopolysaccharide.

    *p < 0.05, **p < 0.01 by two-way ANOVA.

    IJOB-49-3-79_F4.gif

    Effects of SCC-25 and YD-8 CM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 (Top) The experimental procedures for CM collection and osteoclast differentiation. SCC-25 and YD-8 cells cultured and treated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1 μg/mL Pg-LPS.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rinsed with DPBS and then cultured for another 24 hours with fresh media. (Bottom) BMMs were cultured for 4 days with 100 ng/mL RANKL and 30 ng/mL M-CSF. Con CM or LPS CM was supplemented on day 2 of differentiation. On day 4 of differentiation, TRAP staining was conducted. (B) Representative images of TRAP staining (magnification, ×100). (C) Quantitative analysis of TRAP-positive MNCs. (D) Quantitative analysis of TRAP-positive MNCs area.

    CM, conditioned medium; Pg, Porphyromonas gingivalis ; LPS, lipopolysaccharide; DPBS,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BM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M-CSF,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TRAP,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MNC, multinucleated cell.

    *p < 0.05, **p < 0.01, ***p < 0.001 by one-way ANOVA.

    Table

    Primer sequences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M-CSF,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OPG, osteoprotegerin; IL, interleukin; ACTB, actin beta.

    Reference

    1. Peres MA, Macpherson LMD, Weyant RJ, Daly B, Venturelli R, Mathur MR, Listl S, Celeste RK, Guarnizo-Herreño CC, Kearns C, Benzian H, Allison P, Watt RG. Oral diseases: a global public health challenge. Lancet 2019;394:249-60.
    2. Surlari Z, Virvescu DI, Baciu ER, Vasluianu RI, Budală DG. The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cancer—a certainty or a never-ending dilemma? Appl Sci 2021;11:12100.
    3. Li TJ, Hao YH, Tang YL, Liang XH. Periodontal pathogens: a crucial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oral cancer. Front Microbiol 2022;13:919633.
    4. Xu J, Yu L, Ye S, Ye Z, Yang L, Xu X. Oral microbiota-host interaction: the chief culprit of alveolar bone resorption. Front Immunol 2024;15:1254516.
    5. Amarasekara DS, Yun H, Kim S, Lee N, Kim H, Rho J. Reg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cytokine networks. Immune Netw 2018;18:e8.
    6. Irani S, Barati I, Badiei M. Periodontitis and oral cancer – current concepts of the etiopathogenesis. Oncol Rev 2020;14: 465.
    7. Heo SC, Kim YN, Choi Y, Joo JY, Hwang JJ, Bae MK, Kim HJ. Elevated expression of cathepsin K i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by inflammatory cytokines accelerates osteoclastogenesis via paracrine mechanism in periodontal disease. Int J Mol Sci 2021;22:695.
    8. Khor B, Snow M, Herrman E, Ray N, Mansukhani K, Patel KA, Said-Al-Naief N, Maier T, Machida CA.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oral and gut microbiomes: reversal of microbial dysbiosis and the balance between systemic health and disease. Microorganisms 2021;9:496.
    9. Singh S, Singh AK. Porphyromonas gingivali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 review. Microbes Infect 2022;24:104925.
    10. Park GH, Gu DR, Lee SH. Inhibitory effect of 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o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mediated osteoclastogenesis. Int J Oral Biol 2020;45:15-24.
    11. Vaassen LAA, Suhr MM, Hagens ERC, Speel EJM, Kessler PAWH. Bone invasion by oral squamous cell carcinoma—is there a link to periodontal disease? A retrospective single center cohort study: 2010-2020. Oral Oncol Rep 2023;8:100108.
    12. Bi H, Chen X, Gao S, Yu X, Xiao J, Zhang B, Liu X, Dai M. Key triggers of osteoclast-related diseases and available strategies for targeted therapies: a review. Front Med (Lausanne). 2017;4:234.
    13. Chen X, Wang Z, Duan N, Zhu G, Schwarz EM, Xie C. Osteoblast- osteoclast interactions. Connect Tissue Res 2018;59: 99-107.
    14. Peng X, Cheng L, You Y, Tang C, Ren B, Li Y, Xu X, Zhou X. Oral microbiota in human systematic diseases. Int J Oral Sci 2022;14:14.
    15. El Demellawy D, Davila J, Shaw A, Nasr Y. Brief review on metabolic bone disease. Acad Forensic Pathol 2018;8:611- 40.
    16. Elebyary O, Barbour A, Fine N, Tenenbaum HC, Glogauer M. The crossroads of periodontitis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mmune implications and tumor promoting capacities. Front Oral Health 2021;1:584705.
    17. Laliberté C, Ng N, Eymael D, Higgins K, Ali A, Kiss A, Bradley G, Magalhaes MAO. Characterizat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inflammation: a pilot study. Front Oral Health 2021;2:740469.
    18. Li R, Hou M, Yu L, Luo W, Liu R, Wang H.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 J Oral Maxillofac Surg 2023;61:394-402.
    19. Dong JC, Liao Y, Zhou W, Sun MJ, Zhang HY, Li Y, Song ZC. Porphyromonas gingivalis LPS-stimulated BMSC-derived exosome promotes osteoclastogenesis via miR-151-3p/PAFAH1B1. Oral Dis 2024.
    20. Zhang X, Junior CR, Liu M, Li F, D’Silva NJ, Kirkwood KL. Oral squamous carcinoma cells secrete RANKL directly supporting osteolytic bone loss. Oral Oncol 2013;49:119-28.
    21. Zhang Y, Liang J, Liu P, Wang Q, Liu L, Zhao H. The RANK/ RANKL/OPG system and tumor bone metastasis: potential mechanisms and therapeutic strategies. Front Endocrinol (Lausanne) 2022;13:1063815.
    22. Seong S, Kim JH, Kim N. Pro-inflammatory cytokines modulat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J Rheum Dis 2016;23:148-53.
    23. Yip RML, Yim CW. Role of interleukin 6 inhibitors in the management of rheumatoid arthritis. J Clin Rheumatol 2021;27: e516-24.
    24. Feng W, Liu H, Luo T, Liu D, Du J, Sun J, Wang W, Han X, Yang K, Guo J, Amizuka N, Li M. Combination of IL-6 and sIL-6R differentially regulate varying levels of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through NF-κB, ERK and JNK signaling pathways. Sci Rep 2017;7:41411.
    25. Sobocki BK, Basset CA, Bruhn-Olszewska B, Olszewski P, Szot O, Kaźmierczak-Siedlecka K, Guziak M, Nibali L, Leone A. Molecular mechanisms leading from periodontal disease to cancer. Int J Mol Sci 2022;23: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