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7155(Print)
ISSN : 2287-6618(On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Vol.49 No.4 pp.87-91
DOI : https://doi.org/10.11620/IJOB.2024.49.4.87

South Korea’s path to global research collaboration: opportunities in the EU Horizon Europe program

Wonjoon Moon1,3, Seon-Hong Seol2, Sunwoo Lee2,3, Sang-woo Lee2,3, Gehoon Chung2,3*
1Department of Dental Biomaterials Scienc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3080,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Oral Physiology and Program in Neurobiolog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3080, Republic of
Korea
3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3080,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Gehoon Chung, E-mail: gehoon@snu.ac.krhttps://orcid.org/0000-0002-8036-0879
December 13, 2024 December 15, 2024 December 16, 2024

Abstract


In 2024,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research and development budget cuts sparked significant concerns in the scientific community, prompting increased interest in international research funding opportunities. In this regard, South Korea’s upcoming participation as an Associated Country in the European Union’s (EU’s) Horizon Europe offers a timely opportunity. Horizon Europe is the EU’s flagship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 running from 2021 to 2027 with a budget of €95.5 billion. It is structured on three key pillars: 1) excellent science; 2) global challenges and European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3) innovative Europe. South Korea’s direct benefits will focus on Pillar II, which emphasizes global challenges across six clusters, including health, climate, and digital innov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mandates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ypically involving consortia with diverse expertise. Meanwhile, the National Contact Points network has been expanded to support Korean researchers, offering the necessary resources to facilitate engagement with EU counterparts. By leveraging these opportunities, South Korean researchers aim to collaboratively address global challenges, thus enhancing the nation’s scientific standing.



초록


    © The Korean Academy of Oral Biolog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troduction

    2023년 말에 발표된 정부의 2024년도 연구개발 예산 감축방침은 한국 과학계에 큰 소요를 일으켰다. 당초 16.6%에 달하던 감축폭은 비판적 여론을 반영하여 14.7%로 줄었지만, 25개의 정부출연연구소의 예산 감축폭은 25.2%에 달하는 등, 정상적인 연구기관 운영이 어려워졌고, 이는 궁극적으로 과학기술 경력의 초기에 해당하는 연구자들의 피해로 이어졌다[1]. 2024년 말에 발표된 2025년의 연구개발 예산안은 2023년 수준으로 대폭 증가했다고 하지만, 증가된 예산이 일반 연구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거대 사업에 주로 할당되어 현장 연구자들이 체감하기에 상황은 여전히 어렵다. 이러한 위기감으로 국내 연구자들 사이에서 해외 연구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2024년 3월, 정부는 2년 간에 걸친 유럽연합과의 협상을 타결하고, 2025년부터 한국이 유럽연합의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 프로그램에 준회원국(associated country)으로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은 유럽의 대표적인 연구와 혁신(research and innovation) 지원 프로그램으로, 잘 활용하면 연구비 기근에 대응할 수단이 될 수 있고, 유럽의 우수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전쟁물자인 석탄과 철강을 공동으로 관리하여 유럽의 평화를 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1951)가 설립되었고, 이를 시작으로 유럽 경제 공동체(European Economy Community, 1957) 설립, 출입국 관리를 통합하는 솅겐 협정(Schengen Agreement, 1985), 유럽연합(European Union, 1993) 설립과 유로존(Eurozone, 1999) 화폐통합 등 유럽의 평화와 공동의 이익을 위한 협력을 확장해 왔다. 그 중 1980년대 초 유럽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발전을 목표로 하는 Framework Programme (FP) 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제 1차 FP는 1984년부터 1987년까지 4년동안, 2차부터 6차 FP는 1987 년부터 2006년까지 5년씩 지속되었고, 7차 FP부터는 7개년 사업으로 변경되어 꾸준히 규모와 예산이 확장되었다. 현재는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제9차 FP가 진행 중인데, 제9차 FP의 이름이 호라이즌 유럽이다[2]. 호라이즌 유럽의 예산은 직전 제8차 FP(Horizon 2020) 대비 약 24% 늘어나서 7년간 총 955억 유로에 달한다.

    Horizon Europe (2021–202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겪으면서 글로벌 과제에 대한 공동대응과 국제공조 확대, 생태계 보존, 국가지역 간의 상호 의존성이 매우 중 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고, 이에 따라 후속 FP인 호라이즌 유럽에서는 준회원국을 큰 폭으로 늘렸다. 2021년에 가입된 준회원국은 주로 European Union (EU) 소속이 아닌 유럽 국가들이었지만, 2023년 뉴질랜드와 2024년 캐나다가 준회원국이 되었고, 2025년부터는 대한민국이 준회원국이 된다. 이들 비유럽 준회원국 세 나라는 현재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 중 두 번째 핵심요소(Pillar II)를 통해서만 연구비를 직접 지원받을 수 있다.

    1. Pillars and clusters

    제9차 FP인 호라이즌 유럽은 세 가지 핵심요소(Pillar)와 연구정책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핵심요소 Pillar I은 우수한 과학(Excellent Science)으로, 유럽연구위원회(European Research Council)를 통해 상향식(bottom-up)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거나[3], 마리퀴리 프로그램(Marie Skłodowska-Curie Actions)을 통해 박사과정, 박사후연구원, 연구자 파견 등의 인적 교류를 지원하고, 세 번째 핵심요소 Pillar III 는 혁신적인 유럽(Innovative Europe)으로 유럽혁신위원회(European Innovation Council)를 통해 중소기업을 지원한다[4]. 두 번째 핵심 요소 Pillar II는 글로벌 도전과제와 유럽의 산업경쟁력(Global Challenges and European Industrial Competitiveness)으로 EU의 정책적 목표를 연구와 혁신을 통해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가 준회원국으로서 유럽으로부터 직접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연구과제는 Pillar II에 국한되며, Pillar I의 프로젝트에는 제3국의 자격으로 한국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등의 국내 예산을 이용하거나, 유럽 연구책임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Pillar II는 호라이즌 유럽 예산의 56%인 535억 유로가 지원되고, 하위에 6개의 클러스터(cluster)라는 개념을 두어 예산을 할당한다. 클러스터는 연구와 혁신 분야를 주제별로 분류한 것으로 1) Health; 2) Culture, Creativity and Inclusive Society; 3) Civil Security for Society; 4) Digital, Industry and Space; 5) Climate, Energy and Mobility; 6) Food, Bioeconomy, Natural Resources, Agriculture and Environment이며 물리적 위치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이들 6개 클러스터는 단순한 연구 분야의 나열일 뿐, 연구의 방향이나 주제는 전적으로 EU의 정책적 결정에 달려있다. 즉, Pillar II의 연구 주제는 Pillar I 과 다르게 하향식(top-down)으로 정해지므로, EU의 정책목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Top-down selection of research topics

    가장 최근에 발표된 EU의 정책목표는 2021년 9월에 European Commission이 발표한 5가지 EU Missions인데, EU Missions는 2030년까지 달성할 목표로 1)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2) Cancer; 3) Restore Our Ocean and Waters; 4) Climate-Neutral and Smart Cities; 5) A Soil Deal for Europe을 제시했고, 이것이 현행 FP인 호라이즌 유럽이 추구하는 궁극의 목표에 해당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key priorities 3가지가 호라이즌 유럽 FP의 기반이 되는 법적 문서에 명시되었는데, 1) Green Transition; 2) Digital Transition; 3) Resilient, Competitive, Inclusive, and Democratic Europe이다.

    이러한 다소 추상적인 EU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좀 더 구체적인 전략계획(strategic plan)이 3–4년마다 발표된다. 호라이즌 유럽의 후반 3년(2025–2027)을 위한 전략계획은 2024년 3월에 발표되었다[5]. 이 전략계획은 호라이즌 유럽의 3가지 key priorities를 위해서 각 클러스터에서 추구해야 하는 32가지 효과(impacts)를 제시한다(Table 1) [6]. 이후 전략계획의 expected impacts를 구현하기 위한 단기 계획인 Work Programmes가 2년마다 발표되는데, Work Programme 은 Destination과 Call for Proposal (연구제안요청)을 포함한다(Fig. 1) [6]. Destination은 해당 Work Programme이 추구하는 목적에 해당하며 전략계획에서 제시한 expected impacts와 동일하다. 연구제 안요청에는 제출할 연구제안서의 신청기간과 예산규모, 연구기간, 신청자격, 선정기준 등이 상세하게 적혀 있고, EU Funding & Tenders Portal에서 검색할 수 있다[7]. 연구기간은 보통 3년에서 4년이고, 선정 과정은 한 번의 평가로 선정하는 single stage와 예비평가 후 본평가를 거치는 two stage 두 가지가 있다. 선정기준은 Excellence, Impact,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Implementation이며 항목별 5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가장 최신의 Work Programme은 2025년의 일부를 포함하는 Work Programme 2023–2025이며, 2025년 3월경 2025년의 전부를 포함하는 다음 Work Programme이 발표될 예정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Work Programme 작성 단계에서 준회원국의 의견도 반영이 되는데,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준회원국이 되면서 2025년 3월에 발표되는 Work Programme부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해당 Work Programme에 수록되는 연구제안요청은 2025년 5월 이후부터 접수가 가능할 예정이다.

    3. European Partnerships

    EU가 제시한 정책 방향에 동의하고, EU와 공통의 관심을 공유하는 다른 주체들, 예를 들어 각국 정부나 회사, 연구단체 등이 공동의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U와 연구협력관계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European Partnerships라고 한다. 호라이즌 유럽과 European Partnerships는 EU의 정책목표를 지원하고,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는 것에서 동일하지만, 호라이즌 유럽에서 나온 연구제안요청은 좀 더 넓은 범위의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와 혁신을 추구하는 반면, European Partnerships의 연구제안요청은 좁고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European Partnerships는 세 가지 수준으로 결성되는데, 가장 약한 협력관계인 Co-programmed Partnerships, 출자(funding)가 동반된 Co-funded Partnerships, 그리고 새로운 기관을 설립한 형태인 Institutionalised Partnerships가 그것이다. 이 중 우리나라를 포함한 준회원국의 연구자는 Co-programmed Partnerships와 Co-funded Partnerships 형태의 European Partnerships에서 나온 연구제안요청에 지원할 수 있고, Institutionalised Partnerships의 경우는 해당 기관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European Partnerships의 연구제안요청도 EU Funding & Tenders Portal에서 검색이 가능하다[7].

    Building a Consortium

    Pillar II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컨소시움(consortium)을 통한 국제공동연구가 필수라는 점이다. 최소 세 나라의 기관이 필요한데, 그 중 최소 한 나라는 EU 회원국이어야 하고 나머지 둘은 준회원국이어도 가능하다. 다만 실제로 선정된 과제들을 보면 10개국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는 대형 과제가 많다. 따라서 신뢰할 만한 공동연구 컨소시움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컨소시움 구성원의 역할이 분명하고, 학문적, 산업적으로 다양할수록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공동의 관심사를 지닌 연구자들이 모이는 행사는 연구파트너를 찾기 좋은 기회가 되는데, EU에서 주최하는 EU Info-Days나 brokerage events가 대표적이고, 국제학회나 funding의 주체가 주최하는 행사도 유용하다[8].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한-EU 협력진흥사업과 같은 국내 연구과제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EU의 Funding & Tenders Portal [7]이나 CORDIS database [9], Enterprise Europe Network [10]와 같은 온라인 사이트도 좋은 도구가 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존의 인맥을 활용 하거나 호라이즌 유럽 과제를 기수행한 연구팀을 찾아 합류하는 것도 유효한 전략이다[11].

    컨소시움 구성원 중 EU와 직접 소통하며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역할을 coordinator라고 하고, 그 외 EU로부터 연구비를 수혜 받는 구성원을 participants라고 한다. coordinator와 participants를 묶어서 beneficiaries라고 하며, EU로부터 연구비를 받지 않지만 컨소시움에 소속된 구성원을 associated partners라고 한다. 한국이 준회원국이 되기 전의 호라이즌 유럽, 즉 호라이즌 2020 FP에 associated partners로 참여하였던 국내 연구자들이 상당 수 있다[12,13]. 이들을 통하여 컨소시움에 필요한 인맥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1. National Contact Points

    일반 연구자가 호라이즌 유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EU와 각국 정부는 분야별 전문가를 National Contact Point (NCP)로 지정해서 신규사업 공고, EU 동향 등 정보 제공, 연구자 자문 및 교육 훈련, 연구자 네트워크 구축 지원 및 홍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14]. 우리나라에도 그동안 활동했던 NCP가 10명 있었으나 제3국의 입장이어서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이번 준회원국 가입을 계기로 NCP를 21명으로 늘리고 확장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유럽 현지 환경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국제협력에 익숙하지 않은 국내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주EU 대사관, 연구재단, 한-EU 연구협력센터(Korea- EU Research Centre, K-ERC), EU 현지 파견자 등이 NCP 당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 연구재단 사업 공모를 통해 8명 내외를 추가했다[15].

    Conclusion

    이상 유럽의 대표적인 연구 지원제도인 호라이즌 유럽에 대해 알아 보았다. 우리나라가 2025년부터 준회원국으로 가입되면서 여러 변화가 동반되는데, 이를 잘 이용하면 국내 연구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추가 수단이 되기도 하고,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규모와 수준을 진보 시킬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illar II의 연구주제는 EU의 정책적 우선순위에 따라 정해지지만, EU가 겪는 건강 문제나 환경 문제는 대부분 모든 나라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이기 때문에 공동연구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의미가 크다. K-ERC나 연구재단의 도움을 받아 유럽 연구진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공동연구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Work Programme부터 같이 준비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국제 공동연구의 경험을 쌓고 인류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 해결에 한국 과학계가 큰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Fig. 2).

    Funding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연구처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grant no. 860-20240106).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IJOB-49-4-87_F1.gif

    Structure of Horizon Europe. The 7-year Horizon Europe program's overall strategic plan is released in two phases,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the period. The specific operational goals, known as “Work Programmes,” are published every two years to implement the detailed objectives. These Work Programmes include calls for research proposals, which specify detailed conditions, with research durations typically lasting 3 to 4 years.

    Reused from the book of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European Commission) (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2027].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24) [6].

    IJOB-49-4-87_F2.gif

    A comprehensive flowchart of the Horizon Europe project application process. Light green represents EU research projects, dark green represents domestic research projects, green arrows indicate positive cases, and red arrows indicate negative cases.

    EU: European Union; HE: Horizon Europe; MSCA: Marie Skłodowska-Curie Actions.

    Table

    The Key Priorities, Clusters, and the 32 Expected Impacts of the Strategic Plan 2025–2027

    Excerpts from the book of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European Commission) (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 – 2027].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24) [6].

    Reference

    1. Kim B, Go A. R&D budget cut could be the final straw for South Korea’s young scientists. Nature 2024. [Epub ahead of print]
    2. European Commission. Horizon Europe [Internet]. European Commission [cited 2024 Dec 9]. Available from: http://ec.europa.eu/horizon-europe
    3. European Research Council [Internet]. European Research Council [cited 2024 Dec 9]. Available from: http://erc.europa.eu
    4. European Innovation Council [Internet]. European Innovation Council [cited 2024 Dec 9]. Available from: https://eic.ec.europa.eu/
    5. Bahrke J, Verbanac R. 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 2027 for research and innovation to underpin journey to a green, digital and resilient future [Internet].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2024 Mar 20 [cited 2024 Dec 9]. Available from: https://ec.europa.eu/commission/presscorner/detail/en/ip_24_1572
    6.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European Commission). 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 – 2027).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24. https://op.europa.eu/en/publication-detail/-/publication/6abcc8e7-e685-11ee-8b2b-01aa75ed71a1
    7. EU Funding & Tenders Portal [Internet]. EU Funding & Tenders Portal [cited 2024 Dec 11]. Available from: https://ec.europa.eu/info/funding-tenders/opportunities/portal/
    8. Korea-EU Research Centre (KERC) [Internet]. KERC [cited 2024 Dec 11]. Available from: https://k-erc.eu/
    9. CORDIS [Internet]. CORDIS [cited 2024 Dec 11]. Available from: https://cordis.europa.eu/
    10. Enterprise Europe Network [Internet]. Enterprise Europe Network [cited 2024 Dec 11]. Available from: https://een.ec.europa.eu/
    11. Listl S, Bostanci N, Byrne M, Eigendorf J, van der Heijden G, Lorenz M, Melo P, Rosing K, Vassallo P, van Veen EB. Deliberative improvement of oral care quality: the Horizon Europe DELIVER Project. JDR Clin Trans Res 2024;9:185-9.
    12. Korea-EU Research Centre (KERC). Horizon Europe tracker [Internet]. KERC [cited 2024 Dec 13]. Available from: https://k-erc.eu/horizoneuropetracker/
    13. Song Y. Horizon Europe 한국 참여 사례집 2024 [Internet]. Brussels: Korea-EU Research Centre; 2024 [cited 2024 Dec 13]. Available from: https://k-erc.eu/2024/12/publication/22360/
    14. EU Funding & Tenders Portal. National contact points for Horizon Europe [Internet]. EU Funding & Tenders Portal [cited 2024 Dec 13]. Available from: https://ec.europa.eu/info/funding-tenders/opportunities/portal/screen/support/ncp
    15. 정유연. 2025년도 NCP 활동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Internet]. Sejong: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24 [cited 2024 Dec 13]. Available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bbsSeqNo=100&nttSeqNo=3179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