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Selenomonas spp.는 그람 음성의 절대 무산소 세균으로, 초승달 모 양(curved shape)을 가지고 있으며, 만곡된 부위에 편모가 하나 혹은 그 이상 붙어 있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Selenomonas spp.는 당질대사의 최종 산물로 주로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을 생산하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Selenomonas spp.는 현재 사람 구강에서 분리된 9종(Selenomonas artemidis, Selenomonas dianae, Selenomonas felix , Selenomonas flueggei , Selenomonas infelix , Selenomonas massiliensis, Selenomonas noxia, Selenomonas sputigena , Selenomonas timonae ), 반추동물의 위장관에서 분리 된 3종(Selenomonas bovis, Selenomonas montiformis, Selenomonas ruminantium) 및 특정 환경에서 분리된 3종(Selenomonas acidaminovorans , Selenomonas lacticifex , Selenomonas lipolytica)이 보고되었다[3-12].
치주질환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람 구강조직 세포와 세 균 간의 상호작용 연구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숙주세포-세균 간 상 호작용 연구에 있어서, 표준균주 혹은 특정 참고균주를 포함한 소수의 균주들만을 이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13,14].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동일한 세균 종 내 균주들은 유전학적 다양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15] 숙주세포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서로 다른 반응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6]. 그러므로, 특정 세균 종의 구강조직 세 포와의 상호작용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균주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 다. 또한, 균주에 따른 숙주세포-세균 간 상호작용 연구결과를 분석하 기 위해서는 각 균주들이 어떤 병원성 유전자를 가졌는지의 정보도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분리된 S. sputigena 2개 균주를 한국 구강미생물자원은행(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 KCOM)에서 분양 받아, 이들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종- 수준으로 동정,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과 지방산 및 극성 지방 분석 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S. sputigena의 치주질환 병 인론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aterials and Methods
1. Bacteria and bacterial culture
본 연구에 사용된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들은 KCOM 에서 분양을 받아 사용하였다. 이들 균주들은 tryptic soy broth (TSB; BD Difco Laboratories)에 0.5% yeast extract, 5 μg/mL hemin, 0.05% cysteine HCl-H2O 및 2 μg/mL vitamin K1이 포함된 배지 를 사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들 균주들은 무산소 배양기(BACTRONEZ- 2; Sheldon Manufacturing Inc.)에서 배양하였으며, 이 때 혼합가스(5% H2, 10% CO2, 85% N2)와 37℃가 유지되게 하여 24–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다음 실험에 이용하였다.
2.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DNA nucleotide sequences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의 상 동성 분석은 EzBioCloud 프로그램(https://www.ezbiocloud.net) 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MEGA 12 (https://www. megasoftware.net/) 프로그램의 Clustal W 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정렬하고, neighbor-joining methods [17]를 이용하여 계통수(phylogenetic tree)를 얻었다. 이때 균주들의 진화적 거리(% distance로 표현함)는 Kimura 2-parameter model [18]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bootstrap 값은 1,000회 설정하였다. 이때 사 용된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 및 비교 대상 균주들의 16S rDNA 염기서열은 GenBank에서 다운 받아 사용하였다(Table 1).
3. Genome sequencing and bacterial species determination
2개 균주(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의 전장 유전체는 페 놀:클로로포름 추출법을 시행하여 추출하였다[19]. 전장 유전체 염기서 열 결정은 마크로젠 사에 의뢰하여 시행하였다. 이때 PacBio RSII 및 Illumina platforme을 이용하여 시퀀싱하고, RS HGAP 및 SPAde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de novo assembly 하였다. 2개 균주 전장 유 전체 핵산염기서열은 GenBank에 기탁하였다(Table 2). Genome annotation은 NCBI Prokaryotic Genome Annotation Pipeline [20]을 이용하였다.
세균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상동성 분석을 통한, 종-수준에서의 동정 을 위한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분석은 ChunLab에서 제 공하는 OrthoANI 소프트웨어(https://www.ezbiocloud.net/tools/ ani) [21]를, genome-to-genome distance calculation (GGDC) 분석은 DSMZ (Germ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Cell Cultures)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https://ggdc.dsmz. de/) [22]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OrthoANI 및 GGDC 분석을 위한 비교 대상 균주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은 GenBank에서 다운 받아 사용 하였다(Table 2).
4.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균주들의 군락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이들을 한천배지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실체현미경(ZEISS Stemi 305 Compact Stereo Microscope; Carl Zeiss Microscopy)을 이용하여 모양과 크기를 측정하였 다. 이때 실체현미경 상의 균주 5개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평균값을 제 시하였다.
균주들의 미세 모양을 그람 염색 키트(YD diagnostics CORP.)를 이 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염색하고, 이를 광학현미경(CX43RF; Olympus) 으로 촬영하였다.
균주들의 초미세 모양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이를 위해, 하루 동안 배양된 세균 용액을 2.5% paraformaldehyde-glutaraldehyde (Sigma-Aldrich) 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전고정 처리 후, 1% osmium tetraoxide (Sigma-Aldrich) 용액으로 실온에서 40분 동안 후고정 처리하였다. 시료 탈수는 50%, 70%, 80%, 90%, 100% ethanol을 단계적으 로 처리하여 시행하였으며, 그 후 hexamethyldisilazane (Sigma- Aldrich)으로 화학적 건조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전처리한 시료는 시 편 받침대(stub) 위에 부착시켜 스퍼터 코팅장비(sputter coater) 내부 에서 백금으로 코팅하고, 5 kV에서 electron microscopy (S-4800; Hitachi)로 검경하였다. 이때 전자현미경 상의 균주 5개를 무작위로 선 택하여 평균값을 제시하였다.
5.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균주들의 생화학적 특성은 API 20 A 및 RAPID ID 32 A (bioMérieux) 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시험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하 여 균주들의 효소 활성 및 당 발효 패턴 등을 분석하였다.
6. Bacterial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균주들의 지방산 조성 분석은 Miller [23]가 소개한 방법을 기반으 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에 의뢰하여 시행하였다. 이때 지방산 분석에는 가스크로마토그 래피(Model 6890N and Auto-sampler 7683; Agilent)와 MIDI/ Hewlett Packard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MIDI; Microbial ID)을 이용한 Sherlock™ 미생물 식별 시스템(버전 6.3)을 사용하 였다.
7. Polar lipid analysis
균주들의 극성 지방 분석은 Minnikin 등[24]이 제시한 방법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각 균주를 48시간 배양한 뒤 균체를 수집하 여 동결건조하였다. 건조된 균체는 methanol:0.3% NaCl (100:10) 용액과 hexane을 1:1로 혼합하여 추출하였으며, 혼합액을 원심분 리하여 상층을 제거한 후 hexane을 다시 가하여 재추출하였다. 잔 류 하층은 100℃에서 5분간 가열한 뒤 37℃에서 5분간 냉각시켰 고, chloroform:methanol:0.3% NaCl (90:100:30) 용액을 첨 가하여 1시간 교반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을 얻었다. 동일한 절차를 chloroform:methanol:0.3% NaCl (50:100:40) 용액으로 30분간 반 복하여 상층을 합친 뒤, chloroform과 0.3% NaCl 용액을 동량 첨가하 여 세척하고 rotary evaporator로 농축·건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증 류수에 용해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지질 분석은 HPTLC 실리카 겔 플레이트(10 cm × 10 cm; Merck)에 시료를 spotting한 뒤 실시 되었다. 플레이트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65:25:3.8)로 1차 전개한 후 건조하였고, 이어 클로로포름:메탄올:아세트산:물(40:7.5:6:1.8)로 2 차 전개하였다. 전개가 끝난 플레이트는 100℃에서 건조시킨 뒤, 5% ethanolic molybdatophosphoric acid (총 지질 검출), 0.2% ninhydrin (아미노지질), zinzadze 시약(인지질), 2.4% α-naphthol 용액(당 지질)을 각각 분무하여 발색하였다. 모든 플레이트는 100℃ 오븐에서 다시 건조한 후 스캔하여 극성 지질 패턴을 확인하였다. 본 분석은 한국 미생물보존센터에 의뢰하여 수행되었다.
Results
1. 16S rDNA sequence homology and phylogenetic analysis
각 균주들의 16S rDNA 염기서열들의 상동성을 EzBioCloud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는 S. sputigena ATCC 35185T 표준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과 상동성 이 각각 98.85% 및 99.53%였다(Table 1). 또한, 계통수 분석 결과 KCOM 2046과 KCOM 1787 균주들은 S. sputigena ATCC 35185T 와 함께 클러스터 CS-1에 함께 배열되었다(Fig. 1).
2. Bacterial species identification through whole-genome sequencing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결정 결과, 이들은 모두 단일 원형 염색체(circular chromosome)로 구성 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전장 유전체 크기는 각각 2,613,980 bp와 2,740,586 bp였으며, GC 함량은 56.9 mol%와 57.2 mol%였다 (Table 3). OrthoANI 분석결과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 는 S. sputigena ATCC 35185T 표준균주와 95.34% 및 95.69% 상 동성을 보였다(Table 2). GGDC 분석 결과,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는 S. sputigena ATCC 35185T 표준균주와 각각 61.6% 및 63.7%의 상동성을 보였다(Table 2).
3.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들의 군락 모양은 원형이면서 볼 록한 형태를 가졌으며, 상아색(ivory)을 띄었고, 각각의 지름은 0.7 ± 0.2 mm 및 0.8 ± 0.3 mm였다(Fig. 2A and 2B).
이들 균주의 그람 염색결과 그람 음성임을 알 수 있었으며, 초승달 모 양을 보였다(Fig. 2A and 2B).
또한 이들 균주들의 전자현미경 소견에서도 초승달 모양과 만곡된 부 위에 편모가 있는 형태가 관찰되었다(Fig. 2A and 2B). KCOM 1787 과 KCOM 2046 균주들의 길이는 각각 1.7 ± 0.2 µm 및 2.1 ± 0.3 µm였고, 폭은 각각 0.48 ± 0.03 µm와 0.61 ± 0.04 µm였다.
4. Analysis o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bacterial fatty acid composition and polar lipids
API 20 A kit와 RAPID ID 32 A kit를 사용하여 KCOM 1787 과 KCOM 2046 균주들의 당 발효 패턴과 활성을 보이는 효소를 분 석한 결과, 이들 균주 모두 D-glucose, D-lactose, D-sucrose, D-maltose, D-raffinose들을 기질로 하여 산을 생성하였으며, α-galactosidase, β-galactosidase의 효소들이 존재하였다(Table 4, Supplementary Tables 1 and 2).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들에 존재하는 지방산 구성 성분 및 비율을 분석한 결과, C14:0 DMA 성분이 각각 10.7%, 11.7%의 비율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Table 5).
Polar lipid 구조를 분석한 결과, KCOM 1787과 KCOM 2046 균 주들에서 phosphatidylethanolamine, 한 개의 알 수 없는 aminophospholipid가 존재하였으며, 알 수 없는 aminolipids는 각각 5개, 3개로 확인되었고, 알 수 없는 lipids는 각각 3개, 5개가 확인되었다 (Supplementary Fig. 1).
Discussion
본 연구는 16S rDNA 염기서열 비교분석법과 전장 유전체 염기서 열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에서 분리되어 KCOM에 기탁된 S. sputigena 2개 균주를 종-수준으로 동정하고, 이들의 형태학적 및 생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아울러 지방산 조성 및 극성 지방 분석을 시행 하여, 향후 병인론 연구에 기초 자료를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들은 S. sputigena 표준균주와 비교했을 때 종 동정을 위한 16S rDNA 값(threshold value) 98.65%를 초과하는 상동성(각각 98.85% 및 99.53%)을 보 였고, OrthoANI 종 기준치 95%도 넘어 각각 95.34%와 95.69%를 기록하였다. 반면 GGDC 종 임계값 70%에는 미치지 못해, 두 균주의 GGDC 값은 각각 61.6%와 63.7%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들 두 균주들은 16S rDNA 상동성 98.6% 이상과 OrthoANI 값 95% 이상을 같은 종이라는 판정 기준을 적용하여[25], S. sputigena로 동 정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두 균주에 대해 수행한 OrthoANI 분 석과 GGDC 분석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불일치는 현행 세균 종 구분 체계가 여전히 완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현재 사용되는 OrthoANI와 GGDC 값의 임계값은 과거 16S rDNA 서열 비교 및 전 통적 DNA-DNA hybridization 자료를 기반으로 설정[26]된 것이어 서, 방법론적 한계를 내포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종-수준 동정을 위한 보다 정교하고 일관된 기준을 새롭게 확립할 필요가 있다 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상동성 비교분석법으로 S. sputigena로 동정된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들의 GC 함량은 S. sputigena 표준균주의 GC 함량과 1 mol% 미만의 차이가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Tables 3 and 4).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이 도입 되기 전에는 세균 게놈의 GC 함량을 추정하기 위해 열 변성 곡선, CsCl 등밀도 원심분리, 융해 곡선(melting profile) 분석, 고성능 액체 크로 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간접적 방법이 사용되었다[27]. 동일 종에 속한 균주들 사이에서 3–5 mol% 정도의 편차가 보고되었다[27,28]. 그러나 게놈 서열을 직접 해 독해 계산한 값에 따르면 같은 종 내 균주 간 GC 함량 차이는 1 mol% 미만으로 좁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8].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들은 S. sputigena에 속하는 것으 로 판단된다.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들의 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C14:0 DMA, C16:1 cis-7, C18:1 at 17.254, C17:1 cis-9/C17:2 및 C15:2/UN 14.762 C15:2 성분들이 약 10% 내외로 가장 많은 비율로 존재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S. sputigena 표준균주(ATCC 35185T)의 주요 지방산이 C14:0 DMA (35.6%), C15:0 (11.1%) 및 C11:0 (10.9%)인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Table 5). 특히, 이들 S. sputigena 표준균주의 주요 지방산인 C14:0 DMA과 C11:0의 조성과 는 약 3배 이상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혀 예측하지 못한 결과 였기에, 반복 실험하여 결과의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결과는 제 시하지 않음).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차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는 여러 요인이 고려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표준균주의 세포 성분 분석을 위 해 peptone-yeast extract-glucose broth를 사용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TSB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 성분을 분석하였다[9]. 실제로 Moore 등[29]은 분류학적 그룹 내에서 주요 세포 구성성분 간의 비율 은 일반적으로 균일하나, 다양한 분류군과의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동일 한 배양 조건 및 분석 조건의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관찰된 지방산 조성의 차이는 배지 성분의 차이, 지방산 분석 기관의 차 이, 또는 균주들이 서식한 숙주의 식이 차이 등에 기인할 수 있을 것으 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균주를 대상으로 숙주 환경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 양상과 그 기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들은 D-glucose, D-lactose, D-sucrose, Dmaltose, D-raffinose 등으로부터 산을 생성할 수 있고, esculin 가수 분해능이 있어, S. sputigena 표준균주와 동일한 특성을 보였다(Table 4). 하지만, KCOM 2046 균주가 질산염 환원 시험에서 음성반응을 보 인 것은 S. sputigena 표준균주와 상이한 결과였다(Table 4). 이는 S. sputigena 균주들의 생화학적 특성에 다양성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 과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KCOM 1787과 KCOM 2046 균주들의 형태를 관찰 한 결과, 균주의 폭과 길이는 0.45–0.65 × 1.4–2.6 µm, 군락은 상아 색이었으며, 크기는 0.4–1.3 mm로 측정되었다(Fig. 2). Johnson 등 [2]은 S. sputigena 표준균주는 절대 무산소, 운동성이 있고 측면에 편 모가 있으며, 끝이 가늘어지는 초승달 모양의 폭과 길이가 1.3–1.6 × 1.6–2.4 µm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2일 동안 무산소 상태에서 혈액한 천배지에 배양된 군락의 모양은 원형, 직경 약 0.5 mm, 볼록, 흰색 및 반투명 모양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 sputigena 균주에 따 라 군락의 색깔 및 균주 폭 길이 등이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 었다.
S. sputigena는 만성 및 급진성 치주염[30],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31] 병소에서 높은 빈도로 검출됨이 보고되었다. 또한, 급속진행형치 주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S. sputigena는 Prevotella intermedia, Campylobacter concisus 및 Peptostreptococcus micros 와 더불어 자발적 출혈이 있는 곳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검출 빈도가 높았다[32]. 최근 S. sputigena는 Cryptobacterium curtum, Dialister pneumosintes, Filifactor alocis, Mitsuokella dentalis, Slackia exigua, Solobacterium moorei, Treponema lecithinolyticum 및 Synergistes와 더불어 치주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서 새로운 병원체로 소개되었다[33,34]. 반면에, S. sputigena는 구강외 조직의 병소에서는 잘 검출되지 않지만, 패혈증 병소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35-37].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S. sputigena 가 다른 병원성 세균 종과 더불어 치주염의 질병 발병 및 진행에 관여하 지만, 구강외 조직 또는 장기의 세균감염성질환과의 연관성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S. sputigena 종들은 구강 및 전신 장기 에서 감염성 질환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현재 이 들 세균 종의 병인론 연구는 미미하고 특히, 유전학적, 형태학적, 생화 학적 및 화학분류학적 특성이 밝혀진 한국인 유래 균주들의 연구도 거 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여러 특성을 밝힌 2개 균주들 은 여러 병인론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KCOM 1787 및 KCOM 2046 균주들 은 16S rDNA 염기서열 상동성 및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기반 Ortho- ANI 분석 그리고 GC 함량 비교 분석에 의해 S. sputigena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이들 균주들의 형태학적 특성, 생화학적 특성, 지방산 조성, 극성 지방 조성 등의 특성 정보는, 이들 균 주들의 보존 및 분류학적 연구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향후 숙 주-세균 상호작용 등과 같은 병인론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